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문의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단지주혈
- 한독의약박물관
- 문경새재
- 공산성 선정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사인암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경주김씨
- 선돌
- 상당산성
- 곡산연씨
- 청풍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법주사
- 효자문
- 각연사
- 효자각
- 부여박물관
- 부도
- 화양구곡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진천 월성리 석불(鎭川 月城里 石佛) 본문
진천 향토자료전시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월성리 석조여래입상입니다. 이 불상은 진천군 광혜원면 월성리 산 2번지 광흥사 경내에 있는 석조여래좌상은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이다. 본래 만승면 광혜원리 451번지 광혜원리 절터에 있었으나 1984년 지금의 광흥사로 이전되어 봉안된 것이다. 2020년 광흥사가 폐사가 되면서 이 곳으로 이전되었습니다.
광혜원리 절터 - 디지털진천문화대전 (grandculture.net)
광흥사 석조여래좌상은 화강암 재질로, 파손과 마멸이 심하여 본래 모습을 추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높이 97㎝의 남아 있는 불상의 모습을 가늠하여 본래의 모습을 추출해 보면 파손되기 전에는 대좌와 광배를 갖춘 완전한 불상이었으나, 지금은 대좌의 일부분인 상대석과 불신, 광배의 일부분만 남아 있다. 불상은 발견 당시부터 목 위의 불두가 소실되었기 때문에 후에 다시 만들어 복원하였다. 반쯤 남아 있는 광배에는 두 줄의 양각선과 화염문(火炎文)이 보인다.
결가부좌한 다리는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두 손은 합장을 하고 있다. 법의는 통견으로 되어 있으며, 두꺼운 옷 주름이 양 어깨부터 무릎 아래까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상대석은 8각으로 되어 있고, 연화문은 16개의 홑꽃잎으로 앙련(仰蓮)[연꽃이 위로 향한 것처럼 그린 모양]하였다. 광배는 불신과 하나의 석조로 되어 있으며, 절반가량이 파손된 상태이고, 당초 보주(寶珠)[위가 뾰족하고 좌우 양쪽과 위에 불꽃 모양의 장식을 단 구슬]형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광흥사 석조여래좌상관련항목 보기은 전체적인 형태나 조각된 수법으로 보아 나말여초(羅襪麗初)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특히 팔각의 부등변(不等邊) 대좌는 당시의 시대 전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광흥사 석조여래좌상관련항목 보기은 현재 소실된 불두를 새로 석조하여 접합하였기 때문에 몸체와 불두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며, 불상의 옷 주름과 대좌, 광배의 양식이 옛 격식을 갖추고 있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충북의 바람소리 > 진천군(鎭川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성리 진천향교 풍화루(校成里 鎭川鄕校 風化樓) (0) | 2022.10.01 |
---|---|
교성리 연화대좌(校成里 蓮花臺座) (0) | 2022.09.24 |
초평면 화산리 군자감임수명의적비(草坪面 畵山里 軍資監林秀蓂懿蹟碑) (0) | 2022.05.31 |
덕산면 용몽리 덕산면장 이계창불망비(德山面 龍夢里 德山面長 李啓昌不忘碑) (0) | 2021.05.20 |
초평면 금곡리 김긍현선생장학비(草坪面 琴谷里 金肯鉉先生奬學碑) (0) | 202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