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곡산연씨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화양구곡
- 화양동 암각자
- 효자각
- 단지주혈
- 상당산성
- 각연사
- 청풍문화재단지
- 오블완
- 사과과수원
- 법주사
- 사인암
- 부도
- 경주김씨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효자문
- 선돌
- 부여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의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Today
- Total
목록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아름다운 통합청주 (3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관정리는 본래 청주군 산내이상면 지역으로 조선 영조 후반(1750-1776) 관기리 묵정리가 새로이 조성되었다 1910년 경술국치 직전에는 묵정. 관기 호산. 감당. 호동 으로 이루어저 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감당리를 미원면 성대리 호동의 일부를 호정리로 넘겨 주고 관기리와 묵정리의 이름을 따서 관정리라 하였으며, 활뫼,담안. 재실을 1리로 머그미.장자불. 절골을 2리로 분구 하였다. 활뫼(活山) : 관정리의 중심이 되는 마을이며, 1956년 이전에 琅城面事務所 있던 마을 관터(官基) : 활산 앞에 있는 마을로 백제때 娘臂城의 고을터라 함. 재실 : 활산 동쪽에 있는 마을로 경주김씨 재실이 있음. 담안 : 재실 동쪽에 있는 마을 칠여골 : 활산 북쪽에 있는 마을 묵정(墨井) : 머그미. 먹..

현암리는 면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은 삼산리와 갈산리, 남쪽은 무성리, 서 쪽은 청주시 월오동, 북쪽은 산성동과 접해 있다. 가구는 52호에 인구는 155명이다. 현암리는 본래 청주군 산내이하면 지역으로 조선 영조후반(1750-1776)에는 현암리와 죽 동리로 이루어저 있다가 정조 22년(1789년경)에 양성리가 조성되었고, 헌종 때(1845 년경) 죽동리가 거죽리와 죽동으로 분리되었 다. 1910년 경술국치 직전에는 죽동과 거죽리가 통합되어 거죽리로, 양성리는 양지리로 변경되어 현암. 차남. 거죽리. 양지리로 이루어저 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거죽리와 양지 일부를 산성동으로 넘겨주고 마을입구에 검은 바위가 두개 있으므로 현암이라 하여 랑성면에 편입 되었다. 검배(玄岩) : 현암리..

상당구 미원면 수산리는 본래 청주군 산내일면의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판리, 송교리, 원산리와 외삼곡리, 대판리, 수곡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수곡과 원산의 이름을 따서 수산리라 하였다. 1987년 행정리동 분리로 너더리, 숫골, 스실을 수산1리로, 원미를 수산2리로 분리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너더리 : 숫골 동남쪽에 있는 마을. 동판(東板) : 너더리와 숫골을 합해 이르는 말. 숫골(壽殺) : 미원 - 초정간 지방도 우측에 위치한 마을로 장수한 노인이 있었다. 스실(外三谷) : 동판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인근에는 밤실, 반드실 등 세골이 있다. 원미(院山) : 너더리 북쪽에 있는 마을. 궁들 : 너더리 남족에 있는 들 남산 : 스실 남쪽에 있는 산 널리방골 : 숫골 동북쪽에 있는 ..

미원면 운용리는 본래 청주군 산내일면 지역으로 조선 영조 후반(1750-1776)에는 용기리, 덕촌리, 운곡리로 되어 있었으나 정조 22년(1789)경부터 용기리가 용애리(龍涯里)로 개칭되었으며 상운리와 삼흥리가 새로이 조성되었고 헌종대(1845년경)에는 운송정이 새로 이루어졌다. 1910년 경술국치 직전에는 용애리가 용암리로 개칭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운송리와 운곡리의 일부를 운교리로 일부를 화원리로 넘겨주고 상운동과 용암리의 이름을 따서 운용리라 하여 미원면에 편입 되었음. 자연부락으로 소새울, 양달말, 음달말이 있다. 갈미봉 : 소새울 남쪽에 있는 산으로 갈모처럼 생겼다. 군용고개 : 소새울에서 중리 막은골로 가는 고개 군장골고개 : 소새울에서 화원리 새왕이로 가는 고개 능고개 : ..

종암리는 본래 청주군 산내일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하적리, 화암리, 농곡리와 손목포리(孫木浦里), 성화리(盛化里), 분치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종암리라 해서 미원면에 편입됨. 자연부락으로 관사터, 무주리, 벌말, 소란, 용소골, 주막거리가 있으며 현재는 종암1,2리로 분리되어 있음. 자연마을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무주리(舞笑里, 盛化) : 삼거리에서 증평으로 가는 군도 우측 도로변 언덕바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을 뒷 산형이 선인이 춤을 추는 형상이라 한다. 벌말(下赤) : 내수로 넘어가는 지방도 우측에 접한 마을. 삼거리(주막거리) : 증평, 내수, 미원으로 가는 세갈래 길이 있는 곳에 위치하여 내수나 증평장을 보러 가는 행인들이 이곳에서 목을 축이고 쉬어갔다고 한다. 소란(花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