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밀양박씨
- 각연사
- 효자문
- 청풍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공산성 선정비
- 경주김씨
- 오블완
- 청주박물관
- 사인암
- 사과과수원
- 충북의 문화재
- 선돌
- 충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공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법주사
- 보성오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구곡
- 화양동 암각자
- 상당산성
- 부도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각
- Today
- Total
목록박물관 구경하기/음성한독의약박물관(陰城韓獨醫藥博物館) (12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놋쇠로 만들어진 약절구 입니다.한독의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절구를 사용하여 약재등을 찧을 때 바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게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절구 - Daum 백과 절구곡식을 빻거나 찧는 데 쓰는 용구. 통나무나 돌의 속을 파낸 구멍에 곡식을 넣고 절굿공이로 찧는다. 옛말로는 ‘절고’로 표기되었고, 지역에 따라 ‘도구통’·‘도구’·‘절기방아’라100.daum.net

맷돌은 여러 사람이 돌리거나 연자방아처럼 말의 힘을 빌려 돌릴 만큼 큰 것도 있지만, 약맷돌은 대체로 작은 편입니다. 또한, 불로초나 거북과 같이 건강과 장수를 상징하는 십장생을 조각한 것이 많습니다. 이 약맷돌은 거북을 사실적으로 조각해 윗짝으로 사용했으며, 연잎 모양의 밑짝은 가장자리에 홈을 파 약재 가루가 모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거북형약맷돌

이 화강암 약연은 흥선대원군의 집에서 사용되었으며, 그의 손녀가 누군가에게 선물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약연을 상단에서 바라보면, 좌우의 두께가 약간 비대칭이지만, 연알과 약연의 몸체 깊이가 정밀하게 조율되어 바닥에서는 틈이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약연의 바닥은 반원형으로 제작되어 연알이 자연스럽게 가속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연알의 손잡이는 중간 부분이 오목하게 처리되어 구멍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전 대원군 약연

이것은 도기로 만들어진 소형 약연입니다. 도기를 사용하여 약연을 만드는 장점은 형태를 쉽게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약연의 앞뒤에는 '계축십이월이십이일(癸丑十二月二十二日)'이라고 새겨져 있어, 이는 제작 연도의 간지와 날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연알의 표면에는 작은 이중원 안에 '남동(南洞)'이라는 글자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으며, 이는 연알의 앞뒤면에 동일하게 새겨져 있어, 아마도 지명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계축십이월명약연

도자기 제작 시 흑유(黑釉)를 사용하면 검붉은 색상이 나타납니다. 이 약연은 흑유 도자기 중에서도 깊은 검은색으로 두드러집니다. 또한, '약능제강 유능제강(弱能制强 柔能制剛)'이라는 문구가 앞뒤 표면에 새겨져 있어, '약함이 강함을 이기고 부드러움이 단단함을 극복한다'는 의미를 더합니다. 약연의 바닥을 살펴보면 '경오 병화(庚午 丙火)'라는 글자가 십자형으로 새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약능제강명약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