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상당산성
- 티스토리챌린지
- 공주박물관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각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선돌
- 부여박물관
- 문경새재
- 화양구곡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문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부도
- 사과과수원
- 사인암
- 공산성 선정비
- 국립청주박물관
- 밀양박씨
- 청주박물관
- 각연사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곡산연씨
- 충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목록고령신씨 (1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주 백석정(淸州 白石亭)은 상당산성에서 발원하여 달천으로 흘러가는 감천(甘川) 가에 있다. 남쪽은 청주의 초입에 해당하며 영남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길목이어서 많은 인사들이 머물며 학문을 교류하던 장소이다. ‘백석정’이라는 이름은 정자 앞에 돌출한 흰 바위에서 유래한다. 신교(申灚)[1641~1703]는 일찍이 벼슬을 단념하고 청주 백석정을 세워 여러 문사들과 교유하였다. 신교는 본관이 고령(高靈)으로 관정리 일대는 고령 신씨의 세거지이다. 앞으로 감천이 흐르고 북향하는 자연 지세를 그대로 이용하여 정자를 만들고 멀리 영남으로부터 인근 유림들과 시문을 논하던 곳이다. 2010년 12월 10일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
가덕면 인차리에 위치한 가덕면사무소 도로에 접한 화단에 있는 신윤식의 비석입니다. 자연석을 거칠게 다듬어 비석의 받침돌을 만들었습니다. 비석의 위치는 도로개설등으로 인하여 이 자리로 옮긴 듯 합니다.가덕면민 일동이 세운 비석으로 어렵던 시절(일제강점기와 6.25전쟁 후) 면민들을 위해 물질적으로 면민들을 도운 신윤식의 선행을 잊지않기 위해 세운 비석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신윤식씨구제기념비(申潤植氏救濟紀念碑)라고 적혀있습니다.신윤식의 비석은 현재 가덕초등학교 교내에도 1기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윤식은 가덕면을 많이 사랑하고 가덕의 교육에도 앞장섰음을 알수 있습니다. 가덕초등학교의 비석이 1952년도에 건립되었으니 이 비석도 일제강점기 말엽이나 또는 6.25전쟁 전후에 세워진 비석으로..
조선 숙종3(1677년)에 東部主簿를 지낸 白石亭 신교(申灚 ; 1641∼1703년)가 세은 고령신씨의 정자이다. 현재의 정자는 1927년 후손들이 중건하였다. 관정리 마을 앞 도로를 따라 마을 끝자락을 돌아가면 마을 뒷산 중턱 절벽에 바위를 의지하여 자리하고 있다. 지형상 뒤편에 산을 두고 북향하여 바위에 입지하였으며, 백석정 아래에 넓은 하천이 흐르고 있다. 건물로의 진입은 절벽 사이의 좁은 길을 따라 약 10m 정도 들어가면 일각대문이 놓이고 그 안에 백석정이 자리한다. 신교(申灚)는 1677년 낭성천(한강의 상류)의 芷潭 邊 절벽에 매달린 높은 바위 위에 백석정을 창건하여 自號로 白石亭이라 명명하고, 그곳에서 당대의 嶺南과 畿湖지방의 유명한 文士들과 문장과 詩歌를 짓고 교류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낭성면 귀래리에 위치하고 있는 신채호선생의 동상입니다. 귀래리에는 신채호선생과 관련된 유물관과 함께 동상 그리고 영당과 선생의 무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찾은날은 코로나로 인하여 유물관은 입장할수가 없었으며 동상과 함께 영당 그리고 무덤만 둘러 볼수 있었습니다. 신채호는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호는 일편단생(一片丹生), 단생(丹生) 혹은 단재(丹齋)이다. 1880년 12월 8일 충청남도 대덕군(大德郡) 산내면(지금의 대전광역시 중구 어남동)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필명은 금협산인(錦頰山人), 무애생(無涯生), 열혈생(熱血生), 한놈, 검심(劍心), 적심(赤心), 연시몽인(燕市夢人) 등이다. 조선시대 신숙주(申淑舟)의 18대 손이 된다. 고령신씨(高靈申氏)의 일부는 연산군 무렵에 낭성과 가덕 지방에 낙향하..
조선 숙종3(1677년)에 東部主簿를 지낸 白石亭 신교(申灚 ; 1641∼1703년)가 세운 고령신씨의 정자이다. 현재의 정자는 1927년 후손들이 중건하였다. 관정리 마을 앞 도로를 따라 마을 끝자락을 돌아가면 마을 뒷산 중턱 절벽에 바위를 의지하여 자리하고 있다. 지형상 뒤편에 산을 두고 북향하여 바위에 입지하였으며, 백석정 아래에 넓은 하천이 흐르고 있다. 건물로의 진입은 절벽 사이의 좁은 길을 따라 약 10m 정도 들어가면 일각대문이 놓이고 그 안에 백석정이 자리한다. 신교(申灚)는 1677년 낭성천(한강의 상류)의 芷潭 邊 절벽에 매달린 높은 바위 위에 백석정을 창건하여 自號로 白石亭이라 명명하고, 그곳에서 당대의 嶺南과 畿湖지방의 유명한 文士들과 문장과 詩歌를 짓고 교류하였다. 에는 신교가 지..
가덕면 행정리 복지회관앞에 자리하고 있는 고령인 신형식의 공덕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고령신공형식공덕비(高靈申公亨植功德碑)라고 적혀있으며 비석의 후면에는 공덕내용이 적혀있습니다. 비석후면의 공덕내용을 보면 "신형식공과 처 하월정님은 안동김공 진옥 분을 1985년 부터 6년간 김공이 생을 다할때 까지 정성을 다해 모셨다.그 보답으로 김공은 신공에게 답800평을 유산으로 남겼다. 2003년 신공 별세 후 김공이 남겼던 답을 형식공이 행정리 마을공동소유로 귀속하게 하였으니 신공의 덕이 크다 아니할수 없어 그 선행과 덕을 높이 기리고 후세에 귀감을 삼기 위하여 이 비를 세운다. 2013년4월5일 행정리 동민일동'이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