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보성오씨
- 오블완
- 한독의약박물관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사인암
- 화양구곡
- 문의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공산성 선정비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북의 문화재
- 선돌
- 법주사
- 효자문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부도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금화사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신영사원종공신금화사별좌순창조공덕용공적비( 忠臣寧社原從功臣禁火司別坐淳昌趙公德容功績碑)라고 적혀있습니다. 조덕용(趙德容)은 1564(명종19)-1638(인조16) 조선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여윤(汝潤) 본관은 순창(淳昌)이다. 충신(忠信)인 조복(趙服)의 아들이다. 율곡(栗谷)의 문하에서 수학(修學)하였으며 율곡의 아낌을 받아 율곡의 조카사위가 되었다.김천도(金泉道) 찰방(察訪)을 거쳐 금화사(禁火司)의 별좌(別坐)를 지냈는데 1628년(인조6) 최여헌(崔汝獻)이 반란을 일으키니 종질 조기(趙圻)와 함께 참전하여 공을 세워 영사(寧社)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다. 괴산군 문광면 광덕리 순창조씨들의 사당인 칠충사(七忠祠)에 배향되었다.[참고문헌. 괴산군지] 김천도(金泉道) - Daum 백과 김천도 조선시대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5호인 계당(溪堂)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최흥림(崔興霖, 1506~1581)이 낙향해 은거하며 공부했던 건물이다. 최흥림의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현좌(賢佐), 호는 계당(溪堂)이다. 최흥림은 명종 1년(1545)에 을사사화로 많은 사림(士林)들이 화를 입자 벼슬에 뜻을 버리고 보은으로 낙향하여 줄곧 이곳에 은거하였다. 이곳에서 성운(成運), 조식(曺植), 성제원(成悌元) 등과 교류하며 학문을 닦았고, 후학을 가르쳤다. 이곳은 순조 15년(1815)에 금화서원이 창건되자 강당으로 사용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종도리(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도리) 장여(도리 밑에서 도리를 받치고 있는 길고 모진 나무)에 “단기 사삼십오년 임술 팔월 십칠일 기미 미시 입주상량 술좌(檀紀四三十..
계당(溪堂)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최흥림(崔興霖, 1506~1581)이 낙향해 은거하며 공부했던 건물이다. 최흥림의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현좌(賢佐), 호는 계당(溪堂)이다. 최흥림은 명종 1년(1545)에 을사사화로 많은 사림(士林)들이 화를 입자 벼슬에 뜻을 버리고 보은으로 낙향하여 줄곧 이곳에 은거하였다. 이곳에서 성운(成運), 조식(曺植), 성제원(成悌元) 등과 교류하며 학문을 닦았고, 후학을 가르쳤다. 이곳은 순조 15년(1815)에 금화서원이 창건되자 강당으로 사용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종도리(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도리) 장여(도리 밑에서 도리를 받치고 있는 길고 모진 나무)에 “단기 사삼십오년 임술 팔월 십칠일 기미 미시 입주상량 술좌(檀紀四三十五年壬戌八月十七日己未未時立柱上樑..
1814년(순조 14) 최덕진(崔德鎭)이 선조인 삼지 최운과 최흥림의 사묘를 건립하고 지방 유림 강재문외 105인의 찬동을 받아 감사에게 전의하여 승인을 받아 그 이듬 해인 서기 1815년에 창건하였다. 처음은 화순최씨 문중서원으로 건립되었으나, 최흥림의 스승 성운과 함께 교유한 조식 성제원(成悌元) 세 분을 추향하여 다섯 분을 모시고 후학을 모아 강학하였다. 사액을 받지 못한 미사액 서원의 하나다. 1871년 (고종 8)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1917년 지방유림의 주선으로 복설하였다. 사우의 동남쪽 계곡 가에 있는 계당(溪堂)은 최흥림의 호를 따라 명명한 건물로 그가 을사사화 이후 은거하여 성리학의 연마에 정진하던 곳이다. 금화서원 창건 후에는 강당으로 쓰였다. 1764년(영조 40) 중수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