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상당산성
- 선돌
- 사인암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주박물관
- 효자각
- 공주박물관
- 효자문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국립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부도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오블완
- 충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법주사
- 문의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목록도남마을 (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TuQkC/btqBRvDkeq4/y0vMgo5R0vOsKKaKEV1gX1/img.jpg)
원충리(元忠里)의 ‘충(忠)’자와 도남리(道南里)의 ‘도(道)’자를 따서 충도리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도남리, 양전리에 해당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남리, 양전리, 삼고리, 원충리 각 일부와 군내면 석인리 일부를 병합하여 충도리라 하고 음성군 소이면에 편입되었다.충도2리 아랫벳돈의 서북쪽에는 만적산이 있으며 충도리에는 송고개, 길선고개, 덕고개, 충도리고개 등 많은 고개가 있다. 또한 방죽밑·덕산이·앞들·가락구미 등의 들이 있으며 충도리에서 발원하는 상양천, 덕고개천, 하양천 등이 충도천에 유입되고 있다. 충도천은 충도리의 국사산[380m]에서 발원하여 도남, 웃벳돈, 아래벳돈, 가락구미 앞을 지나 완천(浣川)으로 유입되고 있다. 1943년부터 1946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BrJF/btqBO7clSWD/n4vVmQ788990h9DuOCUuT1/img.jpg)
소이면 충도리 도남마을 회관앞에 자리하고 있는 김용식의 불망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김용식씨구휼빈인불망비(金用植氏救恤貧人不忘碑)라고 음각되어 있으며 비석의 건립시기는 갑자년(甲子年) 10월3일입니다.김용식이 갑자년에 발생한 흉년으로 인하여 빈민이 많이 발생하자 사재를 털어 구휼에 앞장선것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듯 하다.1924년 갑자년에 전국적으로 흉년이 들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비의 상태로 보아서는 1924년 일제강점기시대에 건립 된것이다.비의 상태는 양호하다.
충도4리 도남마을 경로당앞에 위치한 박정치의 자선비이다.박정치는 도남마을에서 자라며 마을발전에 공이 있으며 동네 이장을 역임하면서 마을발전과 마을을 위해 자신의 토지를 희사하는 등 마을발전에 헌신봉사함을 기리기 위해 동네주민이름으로 비를 세웠다.1993년에 건립하였으며 비의 전면에는 밀양박공정치자선비(密陽朴公正治慈善碑)라고 음각되여 있으며 비의 후면에는 그간의 행적을 기록하였다
소이면 충도리 도남마을회관앞에 자리한 김명기자선비이다. 김명기는 초대 새마을지도자로 마을발전에 앞섰으며 마을회관 건립당시 회관부지를 기증하는 등 마을발전에 앞서 마을사람들이 그의 헌신을 칭송하며 비를 세워 1993년에 회관 앞마당에 건립하였다. 비의 앞면에는 경주김공..
충도리 도남마을 마을회관앞에 자리한 불망비이다. 김용식씨구휼빈인불망비(金用植氏救恤貧人不忘碑)라고 음각되여 있다. 비의 건립시기는 갑자십월삼일로 되여있다. 김용식이 갑자년에 발생한 흉년으로 인하여 빈민이 많이 발생하자 사재를 털어 구휼에 앞장선것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듯 하다. 1924년 갑자년에 전국적으로 흉년이 들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비의 상태로 보아서는 1924년 일제강점기시대에 건립 된것이다.비의 상태는 양호하다. 비가 있는 충도리는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 속하는 법정리이다원충리(元忠里)의 ‘충(忠)’자와 도남리(道南里)의 ‘도(道)’자를 따서 충도리라 불린다.본래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도남리, 양전리에 해당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남리, 양전리, 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