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주박물관
- 법주사
- 각연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각
- 국립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충주박물관
- 단지주혈
- 사과과수원
- 경주김씨
- 공산성 선정비
- 충북의 문화재
- 화양동 암각자
- 선돌
- 티스토리챌린지
- 부도
- 청풍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사인암
- 밀양박씨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상당산성
- 공주박물관
- 문경새재
- 오블완
- 효자문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망월사 (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fZuLo/btsuZ3TnIa1/SIMMhrPTgkjoK6f7kHQs40/img.jpg)
오랫만에 다시 들린 차정리 연화사. 빗속에서도 인적없는 연화사를 잘 지키고 계신다. 수한면 차정리 연화사석조약사불(水汗面 車井里 蓮花寺石造藥師佛) (tistory.com) 수한면 차정리 연화사석조약사불(水汗面 車井里 蓮花寺石造藥師佛) 원래 이 불상은 회인면 중앙리에 위치하고 있던 망월사라는 절에서 모시던 불상이였다. 예전에 절터가 있어 절을 짓고 망월사라 하여 2004년경 법당을 건립하고 모시고 있던 석조약사여래인데 king6113.tistory.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Rc6a/btryQZ7SaIO/Ht1inRKPpo8OtgJ18EsKe1/img.jpg)
중앙리는 본래 회인군(懷仁郡) 소재지로 읍내면(邑內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마근동(馬斤洞)과 사동(蛇洞), 눌곡리(訥谷里)와 평창리(坪昌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회인읍내의 중앙이 되므로 중앙리(中央里)라 하고 회인면에 편입되었다. 중앙리 서쪽 게곡인 망골로 가는 입구에 있는 서낭당입니다. 돌탑이 근간에 2기 쌓여 있으며 서낭목의 뿌리가 바위를 안고 있다고 하여 신성시 되고 있다고 합니다. 동네주민들의 기도처로 사용되던 곳이지만 지금은 찾는 사람이 없는 것 같습니다. 망골에는 망월사라는 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없어졌습니다. 이 곳 망월사에 있던 석조약사불은 수한면 차정리에 위치한 연화사라는 가정집 절로 옮겼습니다.
회인면 중앙리 망월사에 있던 석불이다. 망월사가 폐사가 되면서 한동안 망월사 주변 서낭당에 안치되여 있었는데 수한면 차정리에 위치하고 있는 연화사로 옮겨 놓았다. 회인면 중앙리 예전에 절터가 있어 절을 짓고 망월사라 하여 2004년경 법당을 건립하고 모시고 있던 석조약사여래..
보은군 회인면 중앙리에 위치하고 있던 석불좌상입니다.회인초등학교 뒷골목 망월사라는 절을 가기전에 서낭당밑에 자리하고 있었습니다.아마 망월사에서 모시던 석불이 였는데 절이 폐사가 되면서 임시로 서낭당밑에 자리하고 있었나 봅니다. 이번에 이 석불이 서낭당 밑에 없다는 소식을 접하고 이리저리 알아본 결과 석불은 보은군 수한면 차정리 연화사라는 절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였습니다 망월사에서 이 석불을 모시던 분이 망월사가 폐사가되며 연화사로 거처를 옮기며 같이 이동하게 되였다고 하더군요 혹여 발걸음 하시는 분들은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회인면 중앙리에 위치하고 있을때의 석불좌상의 모습입니다. 현재 석불이 있는 연화사의 위치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참고로 연화사 옆으로는 조헌장군과 관련있는 후율사와 하마비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