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밀양박씨
- 사인암
- 충주박물관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한독의약박물관
- 경주김씨
- 법주사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티스토리챌린지
- 부도
- 효자각
- 상당산성
- 효자문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충북의 문화재
- 선돌
- 오블완
- 충북나그네
- 곡산연씨
- 공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성혈 (8)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어떤 간절함이 바위위에 흔적을 남겼을까?시간 흘러 옅어진지나간 간절함 어디있느냐 부르는 소리일까?옛 그림자 드리운 고목밑에바람소리 혼자 외롭다.

남일면 문주리 보호수아래에 있는 바위에 새겨진 성혈입니다. 홈구멍〔性穴, cup-mark〕은 바위그림의 한 종류로서 돌의 표면에 파여져 있는 구멍을 말한다. 주로 고인돌〔支石墓〕의 덮개돌〔上石〕이나 자연암반에 새겨진다. 형태적 차이는 있지만 민속에서는 ‘알구멍’, ‘알바위’, ‘알터’, ‘알미’, ‘알뫼’ 등으로도 불린다. 홈구멍이 새겨진 바위는 대체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후대에 계속해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조성시기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홈구멍의 의미에 대해서는 주로 형태적 특징과 제작 방법 그리고 만들어진 곳의 입지를 통해 추론된다. 형태는 주로 원형으로 태양, 여성의 성기, 알, 구멍 등으로 상징되며, 돌 표면을 쪼아서 형태를 잡은 다음 회전 마찰을 통해 다듬었다. 모방주술(..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지당리에 있는 선사시대 바위 구멍이다. 바위에 구멍을 파놓은 예는 고인돌의 덮개돌이나 탑의 기단갑석·제단·별자리도 등에서 관찰된다. 바위에 구멍을 쪼거나 갈아서 파는 행위는 많은 노력이 수반되기 때문에 주로 성스러운 의식에 행해지는 것으로 보았..
내수읍 비중리 일광삼존불 하단에 자리한 바위군락중에 한곳에 있는 성혈이 새겨진 바위이다. 크고 작은 성혈들이 많이 새겨져 있습니다. 성혈(性穴)은 바위그림의 한 종류로 돌의 표면에 파여져 있는 구멍을 말한다. 성혈은 주로 고인돌[支石墓]의 덮개돌[上石]이나 자연 암반에 새겨진..
오대리 고인돌은 오대리 구릉산에 있던 것을 현재는 옥천선사공원으로 이전하여 복원하여 놓았다. 평면은 긴 타원형이며 규모는 210*115*20센티이고 암질은 편암이며 개석식이며 성혈(性穴)이 새겨져있습니다. 오대리(五垈里)는 금강이 마을을 휘감아 흘러가며, 옥천읍에서 유일하게 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