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인암
- 각연사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청풍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부도
- 국립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상당산성
- 효자문
- 단지주혈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선돌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충북나그네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법주사
- 충북의 문화재
- 충주박물관
- 효자각
- Today
- Total
목록송덕불상 (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의 말사. 용화사(龍華寺)는 속칭 ‘걸미산 미륵당’이라 불린다. 용화사(龍華寺)는 1959년에 비구니 한자심이 신축한 절이다. 본래 고려시대의 절터로서 현재 거대한 석조미륵불입상이 남아 있다. 주변에서 석조여래입상이 발견되어 진천문화원으로 이전하였다가 최근 다시 경내로 이전해 왔으며, 인근의 한 민가에는 석탑 부재가 남아 있기도 하여 옛 사지임을 나타내 주고 있다. 이곳의 옛 절터에 대한 문헌 기록은 전혀 없고, 단지 거대한 미륵불상에 대한 일제강점기의 기록이 남아 있을 뿐이다. 1959년에 대웅전을 신축하였다.용화사(龍華寺)에서는 고려시대부터 이곳에 있던 미륵불을 정원에 모시고 있으며, 그 옆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겹..
해방전 외국인에 의해 촬영된 진천 용화사 석불입상이다.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 용화사에 있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전기의 석조 불상.진천군 진천읍 신정리 584-4번지 용화사 경내에 있는 진천 용화사 석불입상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측되며, 1984년 12월 3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로 지정되었다. 법주사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진천 용화사 석불입상은 화강암으로 조성되어 있다. 하단 폭이 170㎝, 높이가 705㎝에 이르는 거구의 서 있는 부처로, 몸체는 긴 기둥처럼 단순화되어 있다. 타원형의 얼굴 미간에는 백호(白毫)가 박혀 있고,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눈은 작아서 감은 듯 보이며, 코는 길고 큼직하며, 볼에는 보조개가 있어 전체적으로 은근하게 웃고 있는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