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문경새재
- 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충주박물관
- 선돌
- 사인암
- 화양동 암각자
- 효자문
- 오블완
- 사과과수원
- 부도
- 효자각
- 상당산성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단지주혈
- 법주사
- 곡산연씨
- 각연사
- 문의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Today
- Total
목록안남면 연주리 (1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안남면 연주2리에 자리하고 있는 초계주씨의 사당 영모사 입니다. 영모사가 위치한 연주2리는 연주리 남부에 위치하고 있다.중간말이라 불리우는 중촌과 독락정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중촌(중촌)은 배바우와 독락정마을의 중간이라서 중간말이라고 부른다.독락정은 조선시대 절충장군 ..
안남면 연주리 안남면사무소 뒷쪽에 있는 광산인 김삼순의 송덕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광산김공삼순송덕비(光山金公三淳頌德碑)라고 음기되여 있습니다. 초대 우체국장을 지냈으며 파출소를 지을때 파출소의 부지를 희사하였다.
안남면 연주2리 독락정 마을에 있는 초계주씨 사당인 영모사 앞에 있는 초계인 주계응의 공적비입니다. 주계응은 평소 문중의 일에 열심을 내며 대소사에 앞장섬으로 문중의 발전에 기여함을 물론 지대한 공이 있어 공적비를 세웠습니다 영모사 앞에는 초계주씨 문중과 관련된 많은 비석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비석에는 금호주계응선생공적비(錦湖周季應先生功績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좌우로 공적내용이 기술되여 있습니다.
초계주씨 사당인 영모사 앞에 자리하고 있는초계인 주채철의 공덕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초계주공채철선생공덕비(草溪周公采徹先生功德碑)라고 적혀있다.
안남면 연주리 비석거리에 있는 비석입니다.비석의 전면에는 은사박선생영록불망비(恩師朴先生永祿不忘碑)라고 음기되여 있으며 쇠창살로 보호책을 둘렀습니다. 은사인 박영록의 은혜를 잊지않기위해 문하생들이 세운것이다.
봉화금씨는 초계주씨의 집안으로 시집을 와서 일찍 남편을 여의고 절부의 도를 다하여 절개를 지켰다. 비석의 전면에는 절부봉화금씨지비(節婦奉化琴氏之碑)라고 새겨져 있다. 안남면 연주2리 독락정앞에 초계주씨의 비석들과 같이 세워져 있다. 봉화(奉化)는 경상북도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금씨(琴氏)의 본관은 봉화 외에도 계양(桂陽)·강화(江華)·안동(安東)·평해(平海)·문화(文化) 등이 문헌에 전해지고 있으나 모두가 봉화금씨의 분파이다. 봉화의 옛 이름이 봉성(鳳城)인 까닭에 봉성금씨라고도 하였으나 현재는 봉화금씨로 일원화되었다. 시조는 기자와 함께 우리나라에 온 금응(琴應)의 후손으로 고려 초의 삼한공신인 태사 금용식(琴容式)이라고 한다. 그러나 금응으로부터 금용식까지의 계보를 추적할 수 없고 또 금용식 이후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