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과과수원
- 부여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문경새재
- 선돌
- 사인암
- 곡산연씨
- 충북나그네
- 효자문
- 각연사
- 단지주혈
- 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부도
- 충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공주박물관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문의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법주사
- 화양구곡
- 효자각
- Today
- Total
목록연주운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효자로 원근에 소문이 난 연주운(延周運)과 연면회(延冕會)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화성3리 상작마을에 세워져 있습니다. 그 동안 여러번의 중수를 거치면서 벽돌담과 단청 그리고 표지석등이 정비되어 참 보기가 좋습니다.야트막한 담 위로는 마을주민들이 꽃화분 등을 놓았습니다. 세대의 반영인지 스테인레스 출입문도 만들어 놓았습니다.상작마을 마을회관 얖에 자리하고 있으며 이곳의 지명은 정문이 있다 하여 정문거리라고 불리웁니다. 새롭게 표지석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아마 지자체에서 세워 놓은 듯 합니다. 마을마다 특색있게 마을별로 환경정비사업등을 한 결과 인 듯 싶습니다. 곡산연문쌍효각(谷山延門雙孝閣)이라 써있고 작은 글씨로 효자성균관생원진사곡산연문이십이세주운효자증조봉대부동몽교관곡산연공면회( 孝子成均館生員進士谷山延門..

"선비를 꿈꾸는 붓마을 작다리" 라는 글이 새겨진 마을유래비와 붓을 형상화한 조형물입니다. 조형물의 건립년도는 2000년 12월 입니다. 화성4리는 작다리 라는 지명을 가지고 있다.작다리라는 ‘상작’은 도안면사무소에서 남쪽으로 900m의 거리에 있다. ‘상작’은 화성4리 ‘하작’과 함께 ‘작다리’로 불리는데, ‘새말장둑’이 경계이다. 즉 ‘새말장둑’ 북쪽은 ‘상작’이고, 남쪽은 ‘하작’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에도 ‘상작달리(上爵達里)’와 ‘상작달하리(上爵達下里)’가 보인다. 그러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名稱一覽)』(1912)에는 ‘상작(上作)’과 ‘하작(下作)’으로 바뀌어 있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는 ‘上作/윗작다리’로 기..
곡산연문쌍효각(谷山延門雙孝閣) : 효자 연주운(延周運)과 그의 손자인 효자 연면회(延冕會)의 정려를 합설한 쌍효각이다. 화성3리 ‘상작’ 입구 174번지에 있다. 연주운의 정려는 고종 24년(1887)에 내렸고, 연면회의 정려는 고종 29년(1892)에 내렸다. 이때 두 사람의 정려를 함께 설치해 쌍효각이 되었다. 쌍효각 건물은 정면 1칸,측면 1칸의 맞배지붕 목조 기와집이다. 현판에는 ‘효자문(孝子門)’이라고 되었다. 효자각 안에는 위에 ‘효자성균생원연주운지려상지십삼년정해사월일명정(孝子成均生員延周運之閭上之十三年丁亥四月日命旌)’, 그 아래에 ‘효자증조봉대부동몽교관연면회지려상지십팔년임진오월일명정(孝子贈朝奉大夫童蒙敎官延冕會之閭上之十八年壬辰五月日命旌)’이라는 편액이 나란히 걸려 있다. 그리고 오른쪽에는 시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