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화양동 암각자
- 곡산연씨
- 효자문
- 부도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상당산성
- 국립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공산성 선정비
- 문의문화재단지
- 법주사
- 충북의 문화재
- 사인암
- 티스토리챌린지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선돌
- 경주김씨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보성오씨
- 효자각
- 오블완
- 한독의약박물관
- 문경새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목록평택임씨 (1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평택인 임황의 묘가 자리하고 있는 풍동의 명칭의 유래는 과거 달천 남쪽 구릉 지대에 단풍나무가 많아 이 지역을 단풍골이라 불렀다. 이 단풍골을 한자로 표현하면서 풍동(楓洞)이 되었다. 그리고 달천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오면서 마을 이름도 상풍, 중풍, 하풍이다. 임황(林篁)의 자는 ..
임형업은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계영(繼榮).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임황(林篁)이고, 형으로는 병마절도사 충민공(忠愍公) 임경업(林慶業)과 임승업(林承業)이 있다. 조선중기 충주출신의 효자이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당시 형인 임승업이 맹산 수령으로서 출전한 뒤 형 대신 노모를 봉양하다가 이듬해 모친상을 당하여 밤낮으로 슬프게 통곡하였다. 이때 청나라 군사가 마을에 침입하여 주민이 모두 도망갔으나 홀로 남아 관을 안고 통곡하자 청군도 그 효성에 감동하여 ‘효인불가해(孝人不可害)’라고 써서 대문에 붙이고 돌아갔다. 그리고 뒤에 쳐들어온 청군들도 침범하지 아니하였다. 이후 관을 선영 밑에 예장하고 3년 동안 시묘한 후 집에 돌아와서도 늙도록 사당에 가서 날마다 참배했다. 그리고 임오년(壬午年)..
충청북도 충주시 풍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무인 임성업의 신도비이다. 풍동(楓洞)은 과거 달천 남쪽 구릉 지대에 단풍나무가 많아 이 지역을 단풍골이라 불렀다. 이 단풍골을 한자로 표현하면서 풍동이 되었다. 그리고 달천 상류에서 하류로 내려오면서 마을 이름도 상풍, 중풍, 하풍이다..
충주시 단월동 단월다리를 충주쪽에서 건너기전에 좌측의 작은동산에 위치하고 있다. 70년대 충주시장으로 근무하던 충주시장 안영국이 쓴 효행각이라는 현판을 걸고 있다. 효행각은 벽돌 스라브조로 만들었으며 사람의 관리의 손길이 많이 필요하다. 효행각안에는 1972년에 세운 평택임..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세성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려각. 이칭으로 임경업쌍성각(林慶業 雙成閣)이라고도 불리운다 [개설] 임경업(林慶業) 장군 별묘 옆에 세워진 건물로, 충민공 임경업과 부인 전주이씨의 충렬 정려각(旌閭閣)이다. [위치] 국도 3호선을 따라 수안보 방향으로 가다가 구 도로를 타고 들어가면 예비군 훈련장 표식이 있는 곳이 있고, 여기서 좌회전하여 200여m 가면 세성초등학교가 나온다. 그 정문을 지나쳐 골목으로 들어가면 임경업 쌍성각이 위치하고 있다. [변천] 『충주시지』의 임경업 충렬문 내용에 의거하면 1848년(헌종 14)에 명정된 정려라고 설명되어 있으나, 현지의 안내판에는 1668년(숭정기원후 상지 12년) 11월 15일 건립되었다고 적혀 있다. 임경업이 복관(復官)된 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