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오블완
- 부도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동 암각자
- 화양구곡
- 청풍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밀양박씨
- 상당산성
- 문의문화재단지
- 선돌
- 공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경주김씨
- 법주사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효자각
- 단지주혈
- 부여박물관
- 효자문
- 문경새재
- Today
- Total
목록홍우선 (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윤정훈(尹鼎勳)은 1881. 11. 24.~1921. 7. 7. │ 자(字)는 옥현(玉鉉), 호(號)는 국은(菊隱)으로 내북면(內北面) 서지리(西枝里) 168-6번지(현 터골길 33)에 거주하였다. 고종의 국장 장례에 내북면 서지리 대표로 상경하여 참례하고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는 3・1운동을 직접 목격하였다. 이후 3・ 1운동은 전국 각지에서 독립만세운동으로 전개되었다. 보은지역에서는 4월에 이르러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었다. 4월 8일에 보은지역에 최대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었다. 내북면 서지리(西枝里, 터골길)에서 윤정훈(尹鼎勳)과 구열조(具悅祖), 산성리(山城里, 현 보은읍 산성리 잣미길)에서 이용기(李龍基)가 각각 마을 주민들을 이끌고 산 위에..
내북면 이원리에 있는 구한말 홍우선의 공적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의병아장홍공우선공적비(義兵亞將洪公雨先功績碑)이라고 음기되어 있으며 좌우 후면에는 홍우선의 행적이 기술되어 있다. 도원리에는 세종의 태를 묻었다고 전해지는 태봉산이 있으며, 옹기 점이 있었다 한다. 마을유래비에는 ‘의병장 한봉수의 아장으로 활동한 홍우선 선생의 의와 충의 마을’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홍우선 의사는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의병을 모아 한봉수 의병부대의 아장이 되어 청원, 진천, 괴산, 평택, 문경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으며, 고향 도원리에서 서거했다. 1973년 내북면 애향동지회에서 홍우선 선생을 기리는 공적비를 세웠다 홍우선은 서기 1884년 8월 22일 본면 도원리에서 출생하였는데 젊어서 부터 강개한 뜻을 품었고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