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산성 선정비
- 화양구곡
- 사인암
- 단지주혈
- 법주사
- 청풍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문경새재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충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공주박물관
- 효자문
- 오블완
- 국립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문의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곡산연씨
- 부도
- 선돌
- 효자각
- Today
- Total
목록화산리 도촌마을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ozfz/btrAYlIIlQr/ap8psZUQQwWNNw7I0TXgG1/img.jpg)
도촌마을 마을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정창현교은불망비이다. 비석의 전면에는 송곡정선생창현공교은불망비(松菊鄭先生昌鉉公敎恩不忘碑)라고 음기되여 있다. 비석에는 비석을 건립한 문하생들의 이름이 적혀있다.비석은 정사(丁巳)년에 세워졌다.비석의 상태등으로 보아 1977년으로 보여진다.
사리면 화산리 도촌마을에 있는 유인경주김씨의 효열비이다. 도촌은 옛날도자기를 굽던 마을이라는 곳에서 지명이 유래되였다. 경주김씨효열비는 도촌마을 경로당옆에 언덕에 서있다. 비석은 병진년(1976년) 후손에 의하여 건립되였다. 비석에는 유인경주김씨효열비(孺人慶州金氏孝烈..
사리면 화산리 마을입구 건너편 길에 위치하고 있는 현충시설인 월남참전기념비이다. 월남참전기념비라고 한글로 써있으며 월남전에 참여한 부대의 마크들이 하단부에 새겨져 있다.
문광면 화산리 도촌마을에 있는 조선조의 무인인 홍의(洪義)의 묘비이다. 도촌마을은 옛날에 도자기를 굽던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도촌마을 경로당을 바라보며 좌측으로 난 언덕길을 따라 올라가면 만날수 있다. 지금은 돌보는 이 없이 방치되여 있으며 시급한 관리가 요구된다. 도촌마을에서 만나 이곳을 설명해 주신 중원대학교 이상주교수님께 이 글을 통해 감사를 드립니다. 홍의(洪義) ?(?)~1484이전(헌종 20) 사람이다. 다음은『세종실록』28권 7년 을사 5월 갑오(甲午 25일)에 보이는 홍의(洪義)에 대한 기록이다.“형조(刑曹)에서 계(啓)하기를, ‘겸사복 호군(兼司僕 護軍) 홍의(洪義)와 홍균(洪淪)이,그 개인 소유의 말을 전곶(箭串)의 어마장(御馬場)에 함께 방목했는데, 백정(白丁) 조인부(趙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