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충주박물관
- 법주사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문경새재
- 효자문
- 문의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공산성 선정비
- 선돌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각연사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경주김씨
- 부도
- 상당산성
- 밀양박씨
- 단지주혈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효자각
- 오블완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주박물관 교첩(忠州博物館 敎牒) 본문
광서16년(고종27년 1890년)병조에서 권영수에게 내린 임명장이다.
교첩이라 함은 조선시대에 5품 이하의 문무관원을 임명할 때 내리던 사령장(辭令狀 : 告身)을 말한다.
5품 이하는 낭계(郎階)라 하며, 대간(臺諫)의 서경(署經)을 거친 뒤 왕명을 받아 이조 또는 병조에서 발령하였다.
연호 위에 찍는 도장[印]은 ‘이조지인(吏曹之印)’ 또는 ‘병조지인’이다.교첩의 서압(署押 : 도장 대신 글씨로 자신을 표시하는 행위)은 참의 이상의 당상관에서 1인과 정랑·좌랑 중 1인 두 사람만이 하게 된다.
교첩도 교지와 마찬가지로 그 가문의 사환(仕宦)을 입증하는 자료이므로 소중히 보관해왔기 때문에 조선 초기 및 전기의 것이 비교적 많이 전래되고 있다. 조선시대의 관료정치 및 양반사회의 성격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가 된다.
권영수(1868-1899)는 조선 말기의 무신이다 박물관 해설란에 오타가 있네... 얼른 연락해 주어야지.연락했음오타수정하기로함(2013.08.03) |
'박물관 구경하기 > 충주박물관(忠州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주박물관 강수영정(忠州博物館 强首影幀) (0) | 2013.08.10 |
---|---|
충주박물관 천제단 신위(忠州博物館 天祭檀 神位) (0) | 2013.08.09 |
충주박물관 유서(忠州博物館 諭書) (0) | 2013.08.03 |
충주박물관 목조나한상(忠州博物館 木造羅漢像) (0) | 2013.08.02 |
가금면 탑평리 칠층석탑 (0) | 201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