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사인암
- 밀양박씨
- 상당산성
- 법주사
- 국립청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문경새재
- 각연사
- 부도
- 한독의약박물관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경주김씨
- 충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선돌
- 곡산연씨
- 오블완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보은읍 죽전리 장두환송덕비(報恩邑 竹田里 張斗煥頌德碑) 본문
보은읍 죽전리에 있는 장두환의 송덕비이다
비의 전면에는 장사랑장공두환송덕비(將仕郞張公斗煥頌德碑)라고 음각되여 있다
관리상태는 양호하다.
장사랑(將仕郞)은 조선시대 종구품(從九品) 동반(東班) 문관(文官)에게 주던 품계(品階)이다.
해당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돈령부(敦寧府)·봉상시(奉常寺)·사옹원(司饔院)·내의원(內醫院)·군기시(軍器寺)·군자감(軍資監)·관상감(觀象監)·전의감(典醫監)·사역원(司譯院)·선공감(繕工監)·사재감(司宰監)·전연사(典涓司)·소격서(昭格署)·사직서(社稷署)·제용감(濟用監)·전생서(典牲署)·오부(五部)·예빈시(禮賓寺)·혜민서(惠民署)·전옥서(典獄署)·활인서(活人署)·문소전(文昭殿)·연은전(延恩殿)·경기전(慶基殿)·영희전(永禧殿)·만령전(萬寧殿)·안릉(安陵)·지릉(智陵)·숙릉(淑陵)·의릉(義陵)·순릉(純陵)·정릉(定陵)·화릉(和陵)·건원릉(健元陵)·제릉(齊陵)·정릉(貞陵)·후릉(厚陵)·헌릉(獻陵)·영릉(英陵)·현릉(顯陵)·장릉(莊陵)·사릉(思陵)·광릉(光陵)·경릉(敬陵)·창릉(昌陵)·공릉(恭陵)·선릉(宣陵)·순릉(順陵)·정릉(靖陵)·온릉(溫陵)·희릉(禧陵)·효릉(孝陵)·강릉(康陵)·목릉(穆陵)·장릉(章陵)·장릉(長陵)·휘릉(徽陵)·영릉(寧陵)·숭릉(崇陵)·명릉(明陵)·익릉(翼陵)·의릉(懿陵)·혜릉(惠陵)·원릉(元陵)·홍릉(弘陵)·영릉(永陵)·건릉(健陵)·인릉(仁陵)·수릉(綏陵)·경릉(景陵)·예릉(睿陵)·현륭원(顯隆園)·휘경원(徽慶園)·숭의전(崇義殿)·태일전(太一殿)·숭덕전(崇德殿)·숭인전(崇仁殿)·숭령전(崇靈殿)의 참봉(參奉), 교서관(校書館)·승문원(承文院)의 부정자(副正字), 개성부·강화부의 분교관(分敎官), 성균관(成均館)의 학유(學諭), 선공감의 감역관(監役官), 내수사(內需司)의 전화(典貨), 오부의 도사(都事), 순강원(順康園)·소녕원(昭寧園)·수길원(綏吉園)의 수봉관(守奉官), 팔도(八道)의 역승(驛丞)·도승(渡丞) 등이 있었다.
봉상시참봉은 예겸(例兼) 하였다. 처(妻)에게는 유인(孺人)의 작호(爵號)가 주어졌다.
[네이버 지식백과] 장사랑 [將仕郞] (관직명사전, 2011.1.7, 한국학중앙연구원)
'충북의 바람소리 > 보은군(報恩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승면 추모재(三升面 追慕齋) (0) | 2013.08.21 |
---|---|
탄부면 고승리 임승재기적비(炭釜面 高升里 任昇宰紀蹟碑) (0) | 2013.08.17 |
보은읍 죽전리 장현광청덕비(報恩邑 竹田里 張顯光淸德碑) (0) | 2013.08.17 |
삼승면 탄금리 김기돌적선비(三升面 彈琴里 金基乭積善碑) (0) | 2013.08.10 |
삼승면 탄금리 정태경제궁비(三升面 彈琴里 鄭泰京濟窮碑) (0) | 201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