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화양동 암각자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오블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곡산연씨
- 문의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공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효자문
- 단지주혈
- 선돌
- 부도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법주사
- 밀양박씨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보성오씨
- 부여박물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익산 미륵사지 석등(益山 彌勒寺址 石燈) 본문
전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자리하고 있는 익산 미륵사에 있던 석등이다.
미륵사는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에 있는 백제시대의 절터이다.
사적 제150호. 미륵사지는 마한(馬韓)의 옛 도읍지로 추정되기도 하는 금마면 용화산(龍華山) 남쪽 기슭에 자리 잡은, 한국 최대의 사찰지이다. 601년(백제 무왕 2)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무왕(武王)과 선화공주(善花公主)의 설화로 유명한 사찰이다. 국보 제11호인 동양 최대 석탑인 미륵사지 서석탑과 보물 제236호인 미륵사지 당간지주가 있으며, 1974년 8월 원광대학교에서 실시한 발굴조사 때 동탑지(東塔址)도 발견되었다. 건물지(建物址)는 백제와 고구려의 유구(遺構)가 복합되어 있다
미륵사는 백제 제30대 무왕 때 창건된 것으로 보이는 백제 최대의 사찰로 언제 없어지게 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시대에 들어 17세기경에 폐사(廢寺)된 뒤 서탑(西塔) 및 당간지주(幢竿支柱) 등의 일부 석물만 남았으며, 사역(寺域)은 경작지와 민가로 변하여 오늘날까지 내려왔다.
1910년대 일본 학자가 조사한 가람배치(伽藍配置)에 의하면 미륵사지는 탑과 금당(金堂)이 마련된 일탑식(一塔式) 가람이 ‘品’자 모양으로 3개가 합쳐져 만들어진 사찰로 추정되어 왔다. 그 뒤 1974년과 1975년 두 차례에 걸쳐 원광대학교(圓光大學校)가 동탑지(東塔址)를 조사하기도 하였으나, 전체적인 성격을 파악하기에는 미흡하였다.
이에 정부에서 중서부고도문화권개발사업(中西部古都文化圈開發事業)의 하나로 미륵사지의 발굴조사를 통하여 사찰의 정확한 규모와 아울러 가람배치의 성격과 구조를 밝혀내고, 발굴 결과 얻어진 자료를 통하여 유적을 정비·보존할 목적으로 1980년부터 1995년까지 본격적인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발굴조사를 통해 이전까지 알려졌던 ‘品’자모양의 가람배치설은 맞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는 것과 동시에 사지의 전체적인 규모도 밝혀지고 2만여 점의 유물도 수습되었다.
한편, 미륵사지석탑(국보 11호)은 2001년 10월부터 해체·보수작업에 들어가 2009년 완료한 후 2014년 보구정비를 완료할 계획에 있다.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2009년 1월 14일, 이탑의 탑신 1층 심주(중앙기둥)를 해체·조사하는 과정에서 미륵사지의 창건년대와 창건주를 기록한 사리봉안 기록판과 금제 사리 항아리 등 유물 500여 점을 발굴했다. 이를 통해 미륵사는 무왕 재위 40년인 서기 639년에 백제인 왕후의 발원으로 건립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금판 앞뒷면에 194자로 된 사리 봉안 기록판에는 시주자의 신분이 무왕의 왕후로, 좌평(백제의 최고 관직)인 사택적덕의 딸이라는 사실이 새겨져 있다. 이는 백제 서동 왕자(무왕)가 향가 ‘서동요’를 신라에 퍼뜨려 신라 진평왕의 딸 선화 공주와 결혼했으며, 그 뒤 선화 공주가 미륵사를 건립했다는 「삼국유사」의 내용과는 다른 것이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
발굴을 통해 확인된 가람배치를 보면 동탑(東塔)과 서탑(西塔)이 있고 그 중간에 목탑(木塔)이 있으며, 각 탑의 북편에 금당의 성격을 가진 건물이 하나씩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 탑과 금당을 한 단위로 구분하는 회랑(回廊)이 있어 동쪽은 동원(東院), 서쪽은 서원(西院), 중앙은 중원(中院)이라는 개념의 삼원식(三院式) 가람형태임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가람배치는 동양 고대가람 연구에서 밝혀진 바 없는 전혀 새로운 형식의 특수한 가람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미륵사지 가람배치를 보면, 자북(磁北:자침이 가리키는 북쪽)에서 약 25°서쪽으로 기울어진 축선상(軸線上)에 중원을 배치하여 남에서부터 중문(中門), 좌우로 복도의 성격을 띤 남회랑(南回廊)·목탑·금당이 배치되어 있고, 주위는 동회랑(東回廊)·서회랑(西回廊)·북회랑(北回廊)으로 둘러져 있다.
또, 중원의 동서 양측에는 중원의 남북축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의 동원·서원을 같은 방식으로 배치하고 있다. 또, 이들의 동회랑과 서회랑은 중원의 회랑과 겸하여 사용하도록 되었다. 즉, 회랑의 전체배열로 보아 남회랑은 동원의 동쪽 끝에서부터 서원의 서쪽 끝까지 중문과 연결되어 일직선상에 놓였다.
각 원(院)의 동측 또는 서측에 놓이는 측랑(側廊)은 동원 또는 서원과 중원 사이에서는 중원의 측랑과 겸용하도록 배치하였는데, 특히 이들 각원의 내랑(內廊)을 한정지어 주는 동서회랑의 중심거리와 그 내랑에 있는 금당의 기단 앞면 길이와는 비례가 맞아 각 원의 건물규모에 따라 내부공간이 잘 조화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이 특기할 사실이다.
또한, 남회랑과 각 측랑과는 기단(基壇)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떨어져 있어 건물이 각각 독립된 것이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기와류를 주로 하여 총 6,500여 점으로 백제시대에서부터 고려시대까지의 기와가 수습되었으며, 특히 서까래[椽木] 끝에 붙이는 녹유연화문연목와(綠釉蓮花文椽木瓦)는 백제기와로서 다수 출토되었다.
문자가 새겨진 기와에는 ‘彌勒寺(미륵사)’, ‘國五年庚辰(국5년경진)’, ‘姚奉院(요봉원)’, ‘至元四年(지원4년)’, ‘天曆三年(천력3년)’ 등 다양하게 수습되었다
익산 미륵사지는
1966년 6월 22일 사적 제150호로 지정되었으며, 익산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면적은 1338만 4699㎡으로, 마한(馬韓)의 옛 도읍지로 추정되기도 하는 금마면 용화산(龍華山) 남쪽 기슭에 자리잡은, 추정 규모로는 한국 최대의 사찰지이다. 601년(백제 무왕 2)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무왕(武王)과 선화공주(善花公主)의 설화로 유명한 사찰이다. 국보 제11호인 동양 최대의 미륵사지 석탑과 보물 제236호인 미륵사지 당간지주가 있으며, 1974년 8월 원광대학에서 실시한 발굴조사 때 동탑지(東塔址)도 발견되었다. 건물지(建物址)는 백제와 고구려의 유구(遺構)가 복합되어 있다.
'박물관 구경하기 > 전주박물관(全州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박물관(全州博物館) (0) | 2014.02.19 |
---|---|
정읍 무성리 출토 석불(井邑 武城里 出土 石佛) (0) | 2014.01.26 |
장명등 석조유물(長明燈 石造遺物) (0) | 2014.01.24 |
전주박물관 문석인(全州博物館 文石人) (0) | 2014.01.24 |
익산 제석사지 석등 옥개석(益山 帝釋寺址 石燈 屋蓋石) (0) | 201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