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부도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각
- 경주김씨
- 부여박물관
- 화양구곡
- 밀양박씨
- 선돌
- 공주박물관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동 암각자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효자문
- 오블완
- 상당산성
- 한독의약박물관
- 각연사
- 문의문화재단지
- 법주사
- 청풍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곡산연씨
- 문경새재
- 공산성 선정비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문의면 소전1리 돌탑(文義面 所田1里 돌탑) 본문
벌랏한지마을로 통하는 소전1리 마을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돌탑이다.외부로 부터의 액이나 살등을 막기위한 일종의 숨호신개념으로 세웠다.동제의 흔적인 새끼줄을 몸에 두르고 있다. 두기의 돌탑이 서로 마주보며 서있다.
돌탑은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강원도, 경상남도 내륙의 산간지역에 주로 분포하지만 제주도에서도 발견된다. 태백산맥에서 소백산맥으로 이어지는 ‘1차 산맥’을 중심으로 그 주변의 산과 강의 흐름을 따라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특히 충청도의 금강 상류지역인 금산·영동·옥천·보은·대전과 전북의 무주·진안·장수가 중심을 이룬다. 이밖에 남쪽으로는 남원·순창·임실·담양·곡성·순천 등지에 산견되며, 경상남도의 거창·고성·산청·의령·함양 등지에서도 산견된다. 강원도에서는 강릉, 횡성, 동해시에 나타나지만 그 수가 적다. 이처럼 돌탑이 산악이나 돌이 많은 특정한 지역과 연계되어 나타나는 것은 지리적인 이점이 신앙과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 준다.
흔히 탑·돌탑이라고 부르지만, 경상도와 전라도 지방에서는 조산(造山), 조산탑 또는 조탑(造塔)이라고 부른다. 제주도에서는 ‘방사용탑’, ‘거욱’, ‘가마귀동산’이라고 한다. 이밖에 충북에서는 ‘수살막이’, 전북에서는 ‘도탐’, 경상도에서는 ‘밥무덤’이라고 각각 칭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이지는 않다.
돌탑은 마을로 들어오는 액이나 질병, 살(煞), 호환(虎患), 화기(火氣) 등을 막기 위해 쌓은 신앙 대상물이다. 하지만 마을 앞의 허한 방위를 막기 위해서나 특정한 모양의 지형을 보완하기 위해 쌓은 단순 비보물(裨補物)이기도 하다. 다른 신앙 대상물에 비해 풍수적인 비보(裨補)신앙의 모습을 가장 강하게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갯마루나 사찰입구에 지나가는 길손이 마구잡이로 던져 놓은 잡석의 서낭당이나 개인이 신을 향한 구도의 마음으로 쌓은 돌탑과는 구별된다. 주민들의 소망과 정성이 모아진 비교적 정교한 마을신앙 대상물이기 때문이다.
돌탑은 돌이 지닌 영구불변성이라는 가장 원초적인 종교 원리를 이용한 신앙 대상물이다. 돌이 지닌 주술성을 토대로 주민들이 하나씩 정성껏 쌓아 올린다. 개인의 창작물이 아니라 주민공동체의 발원 속에서 만들어진 원초적 신앙의 산물이다. 돌탑은 원뿔형, 원추형, 원통형, 반원형 등으로 정성스레 쌓는다.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인 돌탑은 주민들의 정성으로 정교하게 탄생한다. 이 가운데 원뿔대형이 가장 많다.
돌탑은 기단부, 몸체, 머릿돌, 탑 안의 내장물의 네 개 구조로 되어 있다. 탑의 몸체에 감실을 만들기도 하지만 흔하지는 않다. 이는 탑이 불탑(佛塔)과 같다는 관념에서이다. 탑의 머릿돌로는 뾰족하거나 둥글게 생긴 돌을 각각 얹는다. 할아버지탑에는 뾰족한 남성형 돌, 할머니탑에는 둥근 여성형 돌을 얹는다. 탑을 의인화할 때 탑윗돌이 그 표식이 된다. 사람에게 머리가 있듯이 머릿돌은 마을의 수호신인 탑할머니, 탑할아버지의 머리가 된다.
제사를 지낼 때에는 이 머릿돌에 흰종이나 고깔을 씌운다. 이를 ‘옷 입힌다’고 하며 탑을 의인화하는 작업이다. 탑윗돌은 액운의 증표가 되기도 한다. 제주도에서는 탑 위에 사람 형상의 돌이나 까마귀 또는 그저 ‘지키는 거’로 불리는 새를 얹는다. 이것은 사람이나 까마귀나 벽사(辟邪) 성격이 강해 ‘보초서는 것’, ‘지키는 것’이고 불린다.
탑 안에는 주민의 소망에 따라 복을 끌어들이는 쇠스랑, 풍농을 기원하는 오곡(五穀), 액을 막는 부적, 수마(水魔)를 막는 숯이나 소금단지, 돼지·무쇠솥·볏 등 풍수상의 허점을 막기 위한 주구(呪具), 탑을 만든 날짜와 탑을 쌓은 사람의 명단 등이 들어간다. 주민들의 소망을 담은 주구들은 마을 사람 이외에는 알 수가 없다.
마을에 산제당이 별도로 있는 경우 돌탑은 하당신으로 마을 어귀에 모셔지지만 산제당이 별도로 없는 경우에는 돌탑이 산제당이 되기도 한다. 마을 어귀에 있는 돌탑에 제사를 지낼 때 이를 흔히 거리제 또는 ‘탑제’, ‘돌탑제’, ‘조탑제’라고 일컫는다. 지역에 따라 음력 정월 초순이나 보름, 시월에 주민들이 합심하여 제사를 지낸다.
탑은 다른 신앙 대상물과 함께 모셔지기도 한다. 가장 보편적인 것은 신목(神木)이나 마을숲이다. 그 이외에 장승이나 솟대, 선돌 등과 함께 모셔지기도 하지만 드문 일이다. 다른 신앙 대상물보다 특히 풍수(風水)와 관련하여 봉안되는 사례가 많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
돌탑은 보통 마을 어귀에 한 개나 두 개를 세운다. ‘할머니탑’, ‘할아버지탑’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가장 보편적이다. 이러한 명칭은 탑이 지닌 성격을 잘 드러낸다. 가정에서 부모가 아이들을 돌보는 든든한 울타리인 것처럼 마을 어귀의 탑할머니, 탑할아버지 내외는 마을을 수호하는 신령이 된다. 탑제를 지낼 때에는 탑에 금줄을 두르고 머릿돌에 종이를 씌우며 이를 통해 돌탑은 의인화(擬人化)된다. 이로써 곧 일 년 동안 마을을 보호할 할아버지신령, 할머니신령이 된다.
돌탑 (한국민속신앙사전: 마을신앙 편, 2009.11.12, 국립민속박물관)
'통합청주시 > 상당구(上黨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원면 미원리 남양홍문충효각(米院面 米院里 南陽洪門忠孝閣) (0) | 2015.02.20 |
---|---|
문의면 소전2리 돌탑(文義面 所田2里 돌탑) (0) | 2015.02.19 |
문의면 소전1리 입석(文義面 所田1里 立石) (0) | 2015.02.17 |
문의면 후곡리 옹달샘(文義面 後谷里 옹달샘) (0) | 2015.02.16 |
문의면 후곡리 사향탑(文義面 後谷里 思鄕塔) (0) | 201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