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주박물관 당간장식(淸州博物館 幢竿裝飾) 본문

박물관 구경하기/청주박물관(淸州博物館)

청주박물관 당간장식(淸州博物館 幢竿裝飾)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6. 11. 28. 10:28



청주박물관에 있는 당간장식입니다.

당간이란 당(:법회 같은 행사가 있을 때 절에 다는 기)을 달아두는 장대를 말합니다.


사찰의 입구에 세우는 깃대의 일종으로, 찰간(竿)·장간(竿)·정간(竿)·기간(竿)·치간(竿)·번간(竿)·범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로 나무·돌·구리·쇠 등으로 만든다.

당간의 끝에는 보통 당을 달아두지만 현재 당이 남아 있는 것은 거의 없으며, 당간을 지탱하는 지주()만이 남아 있다.

당간 또한 오랜 세월이 지남에 따라 도괴되고 파손되어 그 유례가 많지 않다.

현존하는 당간의 유례는 갑사철당간(竿, 보물 제256호)을 비롯하여 용두사지철당간(竿, 국보 제41호) 등 철제당간 2기와, 석제당간(竿)으로는 나주동문외석당간(竿, 보물 제49호)·담양읍내리석당간(竿, 보물 제505호)과 비지정 당간이 몇 기 있다. 위의 네 곳의 당간 중 갑사철당간은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3기는 고려시대의 작품이다.

3기의 당간 중 용두사지철당간은 철제로서 20개의 원통형 주철()을 상하가 서로 물려 이어지게 쌓아올렸는데, 특히 밑에서 세 번째 원통 표면에 양주()된 393자의 용두사당간기(竿)에 962년(광종 13)이라는 주조연대를 밝히고 있다. 이 당간기에 의하면 애초에는 30단의 주통이었으며 높이는 60자(181.8m)였음을 알 수 있다.

당간은 파사현정( : 를 파괴하여 을 드러냄.)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범어사사적 ≫에 의하면 절()은 33범천()을 상징하여 33단을 세웠다고 한다. 또한, ≪고려도경≫ 흥국사조()에는 개성 흥국사에는 10여장(), 즉 30여m 되는 동주당간(竿)이 법당 뒤 마당에 세워져 있었는데, 당간 표면에는 황금칠을 하고 당간 정상에는 봉황의 머리장식을 하였으며 그곳에 비단으로 된 당을 달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978년(경종 3)에 세운 보원사법인국사보승탑비()는 당간을 절 마당에 세웠으며 범패( : 기)를 그 위에 달았음을 말해 주고 있다.

이상과 같은 기록에 의하여 당간의 양식을 짐작해 볼 수 있다. 특히, 간두(竿)에는 봉황두() 장식을 하였다고 하나 그 예는 없고,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에서 발견된 금동제 당간용두식(竿)을 비롯한 금동제당간이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어 그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현존하는 당간두식(竿)의 예는 나주동문외석당간과 담양읍내리석당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자는 팔각의 보개()와 보주() 장식을 남기고 있으며, 후자는 금속제의 보륜()이 이중으로 장식되고 풍경() 장식을 늘어뜨리고 있는데 현재 두 개가 남아 있다. 정상에는 삼지창()과 같은 철침()이 솟아 있어 피뢰침의 인상을 주고 있다.

한편, 돌·구리·철제의 당간 외 목제당간에 대한 자료가 남아 있어 주목을 끈다. 담양읍내리석당간 옆에 세워져 있는 비문에 의하면 현존하는 석제당간은 1839년(헌종 5)에 중창한 것으로, 원래는 나무당간이었으나 큰 태풍으로 동강나 석제로 대치하였다고 한다.

보통 당간의 아랫부분에는 육중한 당간을 받치기 위하여 연화문을 조각한 받침돌을 놓거나 기단형식의 대()로 받치고 있다. 또한, 당간을 바로 세우기 위하여 좌우 양쪽에 지주로써 당간을 지탱하여 주고 있다. 당간 [幢竿]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