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각연사
- 오블완
- 효자문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선돌
- 밀양박씨
- 화양구곡
- 공산성 선정비
- 사인암
- 충북의 문화재
- 문의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보성오씨
- 경주김씨
- 공주박물관
- 법주사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주박물관 사문유취(淸州博物館 事文類聚) 본문
각 집마다 많은 문목(門木)으로 나누어 고금의 사실과 시문을 내용의 유(類)에 따라 모아 엮은 중국 유서명(類書名). 전집(前集) 60권, 후집 50권, 속집 28권, 별집 32권, 신집(新集) 36권, 외집(外集) 15권. 유집(遺集) 15권. 전 · 추 · 속 · 별집 4집은 송나라 축목(祝穆)이 엮은 것이고, 신 · 외 2집은 원(元) 부대용(富大用)이 엮은 것이며, 유집은 원(元) 축연(祝淵)이 엮은 것인데, 이들을 한데 묶은 것은 누구인지 확실치 않다.
편찬체제는 대개 <예문유취(藝文類聚)>나 <초학기(初學記)>의 그것을 모방하여 약간 변동시킨 것에 불과하다. 이 책에 인용된 내용이 간혹 틀린 곳이 없지 않으나 전현(前賢)들의 문집 기록으로서 그 전체가 오늘날까지 전해 오지 못하는 것들을 고스란히 인용한 것이 특징이다. 신 · 외 2집은 편찬체제에 있어서 아무런 변동이 없고 인용도 퍽 잡다하나, 원대에 있던 고적(古籍)을 많이 인용하고 있어 참고가 된다. 각 집의 문목은 각각 다음과 같다.
전집 13부(部) : 천도(天道) · 천시(天時) · 지리(地理) · 제계(帝系) · 인도(人道) · 사진(仕進) · 선불(仙彿) · 민업(民業) · 기예(技藝) · 악생(樂生) · 영질(嬰疾) · 신귀(神鬼) · 상사(喪事).
후집 14부 : 인륜(人倫) · 창기(娼妓) · 노복(奴僕) · 초모(肖貌) · 곡채(穀菜) · 재목(材目) · 죽순(竹筍) · 과실(菓實) · 화훼(花卉) · 인충(鱗蟲) · 개충(介蟲) · 모린(毛鱗) · 우충(羽蟲) · 충치.
속집 13부 : 거처(居處) · 향다(香茶) · 연음(燕飮) · 식물(食物) · 등화(燈火) · 조복(朝服) · 관구 · 의금(衣衾) · 악기(樂器) · 가무(歌舞) · 새인(璽印) · 진보(珍寶) · 기용(器用).
별집 9부 : 유학(儒學) · 문장(文章) · 서법(書法) · 문방(文房) · 예악(禮樂) · 성행(性行) · 사진(仕進) · 관정(官政) · 인사(人事).
신집 15부 : 삼사(三師) · 삼공(三公) · 성관(省官) · 중서성(中書省) · 상서성(尙書省) · 성속(省屬) · 육조(六曹) · 추밀원(樞密院) · 어사대(御史臺) · 제원(諸院) · 국사원(國史院) · 제사(諸寺) · 제감(諸監) · 전사(殿司) · 제고국(諸庫局).
외집 9부 : 동궁관(東宮官) · 육친부(陸親府) · 왕부관(王府官) · 절사(節使) · 통군사(統軍司) · 도사사(都司使) · 제제거(諸提擧) · 노관(路官) · 현관(縣官).
유집 19부 : 삼사(三師) · 추밀원(樞密院) · 성관(省官) · 제원(諸院) · 동궁관(東宮官) · 국사원(國史院) · 육조(六曹) · 사감(寺監) · 성속(省屬) · 봉작(封爵) · 왕부(王府) · 절사(節使) · 전사(殿司) · 통군사(統軍司) · 부사(府司) · 감사(監司) · 제제거(諸提擧) · 노관(路官) · 궁관(宮官).
한편, <사문유취>가 그 체재를 모방한 <예문유취>(唐 歐陽詢 등奉勅 撰)의 46문류(門類)중에는 천(天) · 세시(歲時) · 지(地) · 책(冊) · 군(郡) · 산(山) · 수(水) · 부명(符命) · 제왕(帝王) · 후비(后妃) · 저궁(儲宮) · 인(人) · 예(禮) · 악(樂) · 직관(職官) · 봉작(封爵) · 치정(治政) · 잡문(雜文) · 무군기(武軍器) · 거처(居處) · 산업(産業) · 의관(衣冠) · 의식(儀飾) · 복식(服飾) · 주거(舟車) · 식물(食物) 등의 항목이 나열되어 있다.
사문유취 [事文類聚]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
'박물관 구경하기 > 청주박물관(淸州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박물관 최창대호패(淸州博物館 崔昌大號牌) (0) | 2017.01.11 |
---|---|
청주박물관 대길이 새겨진 방울(淸州博物館 大吉名銅鐸) (0) | 2016.12.31 |
청주박물관 청주운천동신라사적비(淸州博物館 淸州雲泉洞新羅事蹟碑) (0) | 2016.12.25 |
청주박물관 부처*보살(淸州博物館 부처*菩薩) (0) | 2016.12.22 |
청주박물관 야외문인석(淸州博物館 野外文人石) (0) | 2016.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