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삼성면 양덕리 고심사 석조여래입상(三成面 良德里 高心寺 石造如來立像)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음성군(陰城郡)

삼성면 양덕리 고심사 석조여래입상(三成面 良德里 高心寺 石造如來立像)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0. 7. 10. 07:46



양덕리사지는 양덕리 덜너기 마을의 남쪽 ‘미려골(미륵골)’로 불리는 골짜기에 위치한다. 이곳은 양덕2리 마을회관에서 금일로 1135번길을 따라 남쪽으로 약 1.5㎞ 직진하면 찾을 수 있고, 사역 내에는 고심사가 건립되어있다. 기조사의 내용을 살펴보면 고심사는 1954년에 석조여래입상이 있던 곳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그 외 사지와 관련된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➊ 고심사 스님의 전언에 의하면 이 일대가 절터로 알려져 있으나 확신할 수없고, 고심사가 창건되기 이전부터 이곳에 불상이 존재하고 있었다고 한다.
추정사역은 고심사 건립으로 인해 원지형이 훼손되었고, 사지와 관련된 유구와 유물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곳에는 현재 고심사의 대웅전, 삼성각, 심검당, 백운당, 종각 등이 들어서 있다. 사찰 입구 하단에는 계단식으로 조성된 영탑원(납골당)이 있다. 특히 사찰 초입에 조성된 납골당의 경우에는 골짜기 능선부를 계단식으로 절토하여 조성하였으므로 이 일대에서 원지형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매장유구의 잔존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석조여래입상은 원위치에서 고심사 내 북쪽 앞의 대지로 이전된 것으로 원터로 알려진 곳은 고심사 동쪽의 골짜기라고 한다. 현재의 위치로 옮기기 전 불상은 대웅전 앞에 있다가 다시 심검당 인근 하단으로 옮겨진 후 현재의 위치에 새로 조성된 석조여래입상과 함께 이건되었다고 한다.➋
불상은 광배와 1석으로 조성되었으나 불두는 결실되었고, 광배는 현재 파손되어 불상 하단 주위에서 광배편 3점이 확인된다. 남아있는 불상의 크기는 잔존 높이162㎝, 어깨 너비 72㎝, 불신 최대 너비 82㎝이다. 착의법은 통견으로 가슴부분에서 ‘U’자형으로 내려오다가 다리 중앙에서 ‘Y’자형으로 갈라지며, 군의의 옷주름은 수직선을 이루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 앞에 두었고, 왼손은 아래쪽으로 내려 손가락을 살짝 구부리고 있으나 마모가 심해 정확한 형태를 확인할 수 없다. 광배는 파손되어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없으나 복부 오른쪽에 남아있는 광배부분에 2줄의 선이 세로 방향으로 양각된 것으로 볼 때 신광이 표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의대좌는 훼손이 심하고 후대에 변형된 것으로 보이나 원래의 대좌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불상의 조성시기는고려전기로 추정된다[한국의 사지]



 

 

 

 

 

 

 

 

 

 

 

 

 

 

 

 

 

 

 

 

 백운산 (일명 서운산)이라고 불리우는 백운산 자락에 있다

고려말에 조성된것으로 추측이 된다

고심사라는 절이 있었다는 것을 보충하기라도 하는 듯

이 계곡의 이름이 미륵골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백운산은 충북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와 경기도 안성을 걸치고 있는 산이다

해발 약 350메타정도 된다

충북의 북부쪽으로는 보기 힘든 미륵불이다

 

고심사지의 부처상은 불두가 훼손되여 있다

고려말에 조성된것으로 생각되며 화강암으로 조성되였다

기단은 시멘트에 묻혀있으며 전체높이는 120센티정도이다

하나의 돌에  일체도로 부처상과 광배를 조성한듯 하나

광배부분은 많이 깨여져 나가고 미륵불도 많이 훼손이 되였다

 

고심사 납골당 있는곳에 계곡쪽으로 자리하고 있다.

 

많은것을 민초들의 걱정과 바램에 내여주고 많이 훼손이 되여 있다

주위를 체계적인 발굴을 하였으면 하는것이 고심사에서 석조여래입상을 관리하는 법사님의 바램이다

시원한 음료수 한잔 하라며 건네주시는 넉넉한 미소가 더운 한낮 시원한 바람같은 기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