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아산시 송악면 외암마을 이간 신도비(牙山市 松岳面 巍巖마을 李柬神道碑) 본문

전국방방곡곡/여기저기

아산시 송악면 외암마을 이간 신도비(牙山市 松岳面 巍巖마을 李柬神道碑)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8. 1. 22. 14:25

 

 

이간의 신도비는 외암마을 입구에 자리하고 있다.

이간(李柬)은 조선 후기의 학자. 송시열의 학맥을 이은 서인 산림 권상하의 뛰어난 제자로서,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서울 주변 학자들의 학설인 낙론(洛論)을 이끌었으며, 이것은 북학파에게 이어져 전통적 화이론(華夷論)의 극복에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이간(1677-1727)본관 예안(). 자 공거(). 호 외암()·추월헌(). 시호 문정(). 송시열()의 학맥을 이은 서인 산림() 권상하()의 뛰어난 제자로서,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1710년(숙종 36) 학행()으로 천거되어 장릉()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1716년 산림직()인 세자시강원 자의()에 임명되어 조정에서 학문적 권위를 인정받았다.

1717년 이후 종부시정(簿)·회덕현감 등에 임명되었으나 응하지 않았다. 같은 문인인 한원진() 등과 호락논쟁()을 일으켜, 서울 주변 학자들의 학설인 낙론()을 이끌었다. 그 주장은 여러 측면을 지니고 있으나 대표적인 내용은 인()은 물론. 초목 ·금수와 같은 물()에도 모두 오상()이 갖추어져 있어 인 ·물의 근본적인 차이가 없으며, 어떤 덕()이 외면적으로 편중되게 나타나는 것은 기질()의 차이[]에 기인할 뿐 본연이 그런 것은 아니라는 점이었다.

이것은 홍대용() 등 북학파에게 이어져 전통적 화이론()의 극복에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1777년(정조 1)에 이조참판, 성균관 좨주, 순조 때 이조판서가 추증되었다. 온양의 외암서원에 제향되었고, 문집으로 《외암유고》가 있다.

 

 

 

예안()은 경상북도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 매곡현()이었다가, 신라 때 선곡현()으로 고치고, 고려 태조 때 예안군으로 승격하였다. 1413년(태종 13) 현으로 강등하였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다시 군이 되었으나,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안동군에 편입되었고 그 일부지방은 안동군 예안면()으로 남아 있다. 1995년 안동군은 안동시에 통합되었다.

예안이씨()의 시조 이혼()은 초명이 자분(), 호는 몽암(), 시호는 문장()이다. 이혼은 전의이씨(全義李氏) 시조 태사공() 이도()의 7세손인 이천()의 아들로서 고려 원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첨의정승()을 지내고 예안백()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있다. 실제 분적된 것은 그의 손자 이익() 때로 그는 보문각제학()으로 예안군()에 봉해졌다.

[네이버 지식백과] 예안이씨 [禮安李氏] (성씨와 본관, 2011. 1. 14., 한국학중앙연구원)

 

 

 

 

 

 

외암마을이 위치한 송악면은 동쪽은 광덕산(:699m)을 분수령으로 하여 천안시 광덕면, 남쪽은 봉수산(:534m)을 사이에 두고 공주시 유구읍(), 서쪽은 도고면()과 예산군 대술면, 북쪽은 온주동()과 접한다.

대부분 선캄브리아기 경기편마암복합체 지질이다. 남북과 동서간 지체구조선을 따라서 유곡천()과 근대골내가 흐르며, 유구천이 면의 중앙을 북류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콩·팥이며, 특산물로는 사슴사육·전통메주·표고버섯·느타리버섯·연엽주(전통주)·환경농법(오리)의 수도작 경작 등 시설원예 농가가 많다. 교통은 온양~공주 국도가 지나고, 예산으로 가는 지방도가 통과한다.

문화재로는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보물 536), 아산 외암리 참판댁(:중요민속자료 195), 아산 외암마을(중요민속자료 236), 봉곡사(), 봉곡사  불화(:충남문화재자료 242), 봉곡사 대웅전 및 고방(충남문화재자료 323) 등을 비롯하여 아산 연엽주(:중요무형문화재 11)가 전하고 있다.송악면 [Songak-myeon, 松岳面] (두산백과)

 

이간신도비옆에 자리하고 있는 공덕비입니다

공덕비의 전면에는 백산처사예안이용정선생송덕비(白山處士安李用政先生頌德碑)라고 음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