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경주김씨
- 밀양박씨
- 효자각
- 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사인암
- 선돌
- 법주사
- 공산성 선정비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충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문경새재
- 충북의 문화재
- 단지주혈
- 곡산연씨
- 각연사
- 보성오씨
- 부여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문
- 화양구곡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사인암각자 - 조휘림(舍人巖刻字 - 趙徽林) 본문
사인암벽에 각자된 조선조 순조때의 문신인 조휘림(趙徽林)의 각자입니다
조휘림은 생몰 1808(순조 8)~? 입니다.자는 한경이며 본관은 양주입니다.
20세 1828년(순조 28) 왕세자 황감제(黃柑製)에서 거수(居首)하여 전시(殿試)에 직부 21세 1829년(순조 29) 생원(生員)으로 정시문과(庭試文科) 병과24(丙科24)에 급제하였다 그뒤 여러 관직을 거치다 31세 1839년(헌종 5) 6월 22일 충청우도 암행어사로 지방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는 서산군수 송재의(宋在誼) 등 11명의 지방관을 처벌하게 하였다. 1854년(철종 5) 대사성(大司成)에 오르다.1858년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와 1860년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오르고 이듬해 문안사(問安使)로 청나라를 다녀왔다. 각자는 암행어사시절 사인암에 들려 각자한것으로 추측된다.
관련 기록
≪헌종 006 05/06/26(경인). 충청우도 암행 어사 조휘림의 서계에 따라 심원열 등에게 죄를 주다≫ 충청우도 암행 어사(忠淸右道暗行御史) 조휘림(趙徽林)을 희정당에서 불러 보고, 전(前) 청양 현감(靑陽縣監) 심원열(沈遠悅)·전 서천 군수(舒川郡守) 박내수(朴萊壽)·당진 현감(唐津縣監) 김대연(金大淵)·전 홍주 목사(洪州牧使) 김횡·전 공주 판관(公州判官) 이정구(李鼎耈)·서산 군수(瑞山郡守) 송재의(宋在誼)·전 면천 군수(沔川郡守) 김익근(金益根)·전 대흥 현감(大興縣監) 민수룡(閔洙龍)·전 비인 현감(庇仁縣監) 이부현(李復鉉)·보령 현감(保寧縣監) 이의익(李義益)·노성 현감(魯城縣監) 서광규(徐光圭) 등을 차등 있게 죄주었으니, 어사의 서계에 인한 것이었다. 【원전】 48 집 467 면 【분류】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인사-관리(管理). *사법-탄핵(彈劾) (자료 : 조선왕조실록, 원문번역 민족문화추진회)
순조 8년(1808)∼?. 자는 한경. 본관은 양주. 제만의 아들이다.
1829년 생원으로 정시문과 병과에 급제한 후 부사과, 동래부사 등을 지냈다. 1854년 대사성, 1858년 전라도관찰사, 1860년 형조판서에 오르고 문안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사인암벽에이름이 남았는데 1839년 충청우도 암행어사를 지낼 때의 흔적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