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화양동 암각자
- 화양구곡
- 청풍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밀양박씨
- 단지주혈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공산성 선정비
- 경주김씨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선돌
- 부도
- 상당산성
- 법주사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각연사
- 문경새재
- 사인암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효자문
- 효자각
- 문의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대강면 사인암리 청련암 목조불(大崗面 舍人巖里 靑蓮庵 木造佛) 본문
청련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법주사의 말사이다. 고려 말기인 1373년(공민왕 22)에 나옹선사(懶翁禪師)가 창건하였고, 조선시대에 이르러 임진왜란 때 전란으로 소실되었으며, 1710년(숙종 36) 중창하여 청련암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본래는 대강면 황정리에 있다가 한말(韓末)에 소실된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였으며, 1954년 공비소탕 작전으로 인하여 황정리 일대에 소개령이 내려짐에 따라 사인암리로 대들보와 기둥을 옮겨 이전하였다.
법당인 극락전(極樂殿)과 칠성각(七星閣)으로 이루어져 있다. 극락전은 목조기와의 정면 5칸, 측면 2칸인 팔작지붕 구조이며, 칠성각은 목조기와의 3칸 팔작지붕 구조이다. 불상으로는 석고제의 석가여래좌상과 관세음보살상이 봉안되어 있다. 경내에 단양팔경(丹陽八景)의 하나인 사인암(舍人岩)이 있어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이 보살상은 원래 청련암이 단양군 황정리에 있을 때 아미타여래삼존상 중 우협시로 봉안되었던 것인데, 1954년 청련암이 현재의 장소로 옮겨오면서 본존상은 없어졌고 좌협시 관음보살상은 제천 원각사에 봉안하였다고 한다. 제천 원각사 관음보살상이 이 상과 좌우 손의 위치만 달리할 뿐 거의 꼭 같은 모습을 하고 있어 이 상과 더불어 아미타여래삼존을 이루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청련암 목조대세지보살좌상은 최근에 만든 연화 대좌 위에 결가부좌하였다. 이 보살상은 작은 머리에 긴 허리와 낮은 무릎을 갖추고 있어 늘씬한 신체비례를 보인다. 얼굴은 넓고 편평한 이마를 가졌으며, 양미간에는 백호를 도드라지게 나타내었다. 눈은 가늘게 치켜뜨고 사바세계를 굽어살피듯 그윽하게 표현하였고, 작고 앙증맞은 입술에는 양 입가를 눌러 옅은 자비의 미소를 만들었다. 이와 함께 코 뿌리에서 돌출한 매부리코, 살이 많은 양악과 짧은 턱에서 오는 천진한 얼굴 표정은 17세기 후반에 활약한 단응(端應)의 작품과 닮았다.
머리 정상에는 보계를 둥글게 틀어 올렸으며, 귓불을 돌아 어깨 위로 흘러내린 보발은 어깨 위에서 둥근 고리 모양으로 엮어 앞뒤로 흘러내렸다. 흘러내린 보발의 소재는 불상의 주재료인 목조와는 다른 흙 등 가소성의 재료로 붙인 것이다. 보관은 꽃잎 모양으로 능을 준 모판(母板)에 불꽃무늬, 구름무늬, 봉황무늬 등을 따로 제작하여 꽂아 장엄하였다.
착의는 이중 착의법으로, 상의(上衣) 위에 변형의 편단우견으로 걸친 대의 자락이 어깨에 살짝 걸쳐있다. 불신에는 주름이 거의 없으나, 그나마 표현된 주름도 대부분 간결하고 힘 있는 철선묘(鐵線描)를 위주로 사용하였다. 좁게 노출된 가슴에는 비스듬히 접어 멋을 낸 군의의 끝단이 표현되었고, 그 아래로 두 장의 대의가 W자형으로 교차하여 왼쪽 어깨 뒤로 넘겼다.
결가부좌한 무릎은 둥글게 처리하였고, 왼팔을 덮고 내린 소맷자락이 노출된 오른쪽 발가락을 덮고 짧게 드리워졌다. 오른발 아래로 부메랑처럼 드리운 넓은 띠 주름을 S자형으로 반전을 주었고, 그 좌우에는 입체적인 사선 주름으로 힘 있게 펼쳐졌다. 두 손은 별도로 제작하여 꽂은 것인데, 오른손은 어깨 높이로 들었고 왼손은 무릎 위에 놓아 각기 엄지와 중지를 둥글게 맞대었다. 손이 신체에 비해 유난히 크며 오른손은 너무 위로 들어 다소 부자연스러운 모습이다.
이 보살상에서 보이는 신체에 비해 긴 허리, 살집이 많은 양악과 짧은 턱, 평면적인 얼굴, 코 뿌리에서 갑자기 돌출시킨 매부리코, 복부에서 길쭉하게 늘어져 표현된 W자형 주름 등은 조각승 단응이 제작한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1684년)이나 제천 정방사 목조관음보살좌상(1689년) 등과 매우 흡사하다. 단응은 17세기 말경에 활동한 조각승으로, 경상북도와 충청북도 등지에 그의 작품이 많이 남아 있어 이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펼친 조각승으로 확인된다.
'충북의 바람소리 > 단양군(丹陽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상천면 대전리 전교허원효행비(於上川面 大田里 典校許瑗孝行碑) (0) | 2022.12.19 |
---|---|
어상천면 대전리 효자허헌효자각(於上川面 大田里 孝子許憲孝子閣) (0) | 2022.12.19 |
사인암 지준식각자(舍人巖 池俊植刻字) (0) | 2020.05.22 |
대강면 용부원리 화길옹주태실비(大崗面 龍夫院里 和吉翁主胎室碑) (0) | 2020.02.03 |
대강면 두음리 성황당(大崗面 斗音里 城隍堂) (0) | 2019.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