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경새재
- 오블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사인암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티스토리챌린지
- 단지주혈
- 국립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밀양박씨
- 부도
- 효자각
- 공주박물관
- 선돌
- 문의문화재단지
- 청풍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각연사
- 충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법주사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초평면용기리금성대군사우( 草坪面龍基里錦城大君祠宇) 본문
조선(朝鮮) 제4대 세종(世宗)의 여섯째 아들 금성대군(錦城大君) 이유(李瑜)를 배향하기 위해 1740년 건립한 사당이다. 정면 4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으로 반간의 앞퇴를 두었으며, 성균관장(成均館長) 김경수(金敬洙)가 쓴 ‘청당사(靑塘祠)’라는 편액(扁額)을 달았다.
내부 중앙에 감실(龕室)을 설치하고 그 안에 위패(位牌)를 봉안(奉安)하였다. 정면(正面)에 일각대문을 세웠는데, 그 처마 밑에 ‘충신묘금성대군흥록대부정민공완산이유배완산부부인전주최씨지묘을묘삼월일(忠臣廟錦城大君興祿大夫貞愍公完山李瑜配完山府夫人全州崔氏之廟乙卯三月日)’이라고 쓴 현판(懸板)을 달았다. 주위에는 돌과 흙을 섞은 담장을 두르고 기와를 얹었다.
금성대군(1426~1457)은 세종의 여섯째 왕자로 이름은 이유(李瑜)이며,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이다.
계유정난(癸酉靖難) 이후, 세조(世祖) 2년(1456)에 성삼문(成三問)등 사육신(死六臣)에 의한 단종(端宗) 복위(復位)운동에 연루되어 순흥(順興)으로 유배되었으며, 그곳에서도 순흥부사(順興府使) 이보흠(李甫欽)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꾀해 일대의 충의(忠義) 있는 인물들에게 격문(檄文)을 돌리다가 고변(告變)을 당하여 세조 3년 10월에 사사(賜死)되었다. 영조(英祖) 14년에 신원(伸寃)되었고, 휘호(徽號)는 정민(貞愍)이다.
수양대군의 사우가 충북 진천에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수양대군이 왕권을 찬탈하려 한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그러자 단종은 다음과 같은 교서를 내린다. 교서는 국왕이 발표하는 문서를 말한다.
"혹은 이르기를, '수양 대군이 장차 과인에게 이롭지 못할 것이다' 하여, 서로서로 의혹하고 혼란하여 안팎에 만연되니, 이것은 우리 군신을 이간시키고 국가를 동요시키려는 것이다. 만일 뜬말을 퍼뜨리는 자가 있으면 곧 잡아서 고하라. 반드시 중한 상을 주겠다".
소문은 현실화했다. 수양대군은 계유정난을 일으켜 김종서를 제거하는 등 왕위찬탈 음모를 행동으로 옮기기 시작했다. 명분은 신권이 왕권을 넘본다는 것이었다. 마침내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선양받았다. 이때 단종이 남긴 교서 내용이다.
"종묘와 사직을 수호할 책임이 실상 우리 숙부에게 있는 것이다. 숙부는 선왕의 아우님으로서 일찍부터 덕망이 높았으며 국가에 큰 훈로(勳勞)가 있어 천명과 인심의 귀의하는 바가 되었다. 이에 이 무거운 부하(負荷)를 풀어 우리 숙부에게 부탁하여 넘기는 바이다".
단종복위 운동이 일어났다. 1차는 이른바 사육신이, 2차는 금성대군이 주도했다. 세종은 6명의 부인 사이에 18남 4녀를 두었다. 이중 소헌왕후 심씨 사이에서 태어난 문종이 장남, 수양대군(세조)이 2남, 금성대군이 6남이 된다. 금성대군은 계유정난이 발생하자 형(수양대군)의 행위를 반대하고 조카(단종)를 보호하기로 결심한다.
이를 눈치챈 세조는 금성대군을 '당여를 키운다'는 죄명으로 삭녕을 거쳐, 광주, 순흥 순으로 이배를 시켰다. '당여'(黨與)는 자기편 사람을 모으는 행동을, 이배는 유배지를 옮기는 것을 의미한다. 금성대군은 경북 순흥에서 단종복위 행동을 구체화한다. 그는 순흥고을의 선비와 군사를 모으고 이를 바탕으로 영주, 안동, 충주 하늘재 등을 거쳐 서울로 진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옆에서 이를 도운 인물이 당시 순흥부사 이보흠이었다. 그도 세조를 못 마땅히 여기고 있던 터였다.
당시 순흥부 급창이었던 한 관노는 금성대군 여종과 사귀는 관계로, 그는 여종이 금성대군의 역모격문을 갖고 있는 것을 알게 됐다. 관노가 이를 고발하려 나서자 당시 풍기군수가 이를 빼앗아 먼저 고발하면서 단종 2차복위운동이 탄로났다. 급창은 수령의 명령을 간접으로 받아 큰 소리로 전달하는 일을 맡아보던 사내종을 말한다.
그 결과, 단종은 영월에서, 금성대군은 안동에서, 이보음은 평안도 박천으로 유배 끝에 교살내지 사사됐다. 그리고 순흥지역 사민(士民)이 300여명이나 살해됐다. 순흥부 관청의 벼슬아치는 강원도 두메산골 역리(驛吏)로 강등돼 추방됐다. 이를 정축지변이라고 한다.
금성대군은 충북에 별 연고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우가 진천군 초평면 용기리 416에 위치하고 있다. 금성대군의 부인은 최사강의 딸인 전주최씨로, 초평서 가까운 청원군 북이면 대율리가 친정이었다. 그녀는 금성대군이 유배를 떠나자 친정으로 피화해 유복자 함종을 낳았다. 여기에도 '노비가 여아를 낳아 함종과 바꿔치기, 멸문을 막았다'라는 얘기가 전해지나 분명치는 않다. 금성대군사우는 충북도문화재자료 제10호로, 건물에는 '청당사(靑塘祠)'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충북일보]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기리에 있는 조선 후기 금성대군의 사우.
'충북의 바람소리 > 진천군(鎭川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천읍연곡리효자동입구공덕비군(鎭川邑 蓮谷里孝子洞入口功德碑群) (0) | 2010.10.10 |
---|---|
초평면용기리수의마을사각정(草坪面龍基里수의마을사각정) (0) | 2010.10.10 |
문백면구곡리은진송씨열녀문(文白面九谷里恩津宋氏烈女門) (0) | 2010.10.09 |
문백면구곡리장렬사(文白面九谷里將烈祠) (0) | 2010.10.09 |
진천읍연곡리석비(鎭川邑蓮谷里石碑) (0) | 201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