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티스토리챌린지
- 공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경주김씨
- 사과과수원
- 부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한독의약박물관
- 각연사
- 효자문
- 곡산연씨
- 법주사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선돌
- 충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효자각
- 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화양구곡
- 오블완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증평향토자료관 백암리 호적대장(曾坪鄕土資料館 白岩里 戶籍臺帳) 본문
모처럼 오랫만에 아내와 함께 증평 남하리에 위치한 증평 민속체험 박물관을 찾아 보았습니다.
좌구산 아래 위치한 삼기저수지도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며 둘레길을 걷고 분위기 좋은 찻집에서 오랫만에 둘이 차도 한잔 마시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가까운 민속체험박물관을 둘러 보았습니다.
저도 향토전시관에 있는 탑을 보기 위해 들렸었지만 다른 유물들은 자세히 살펴보지 못했는데 이번 기회에 자세히 살펴 보았답니다.그 중에서 백암리호적대장도 하나에 속합니다.
겉 표지에는 충청북도청안군북면백암리계좌목( 忠淸北道淸安郡北面白巖里契座目)이라고 적혀있고 북면 백암리 호적( 北面白巖里 戶籍)이라고 적혀 있으며 나머지 면에 상세기록이 기술되어 있습니다.노암리 이장댁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합니다.
백암리 호적대장은 현재 증평향토자료실에 전시되어 있습니다.광무년간인 1897년부터 1907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청안군 북면 백암리(뱀티)의 호적대장이다. 이 호적에 따르면 뱀티마을은 모두 3개의 통에 38호 107명이 살았으며, 오늘날 면장에 해당하는 집강(執綱)은 연병연이었고, 이장에 해당하는 존위(尊位)는 연시우였다. 총 3통중 1통은 통수(統首)에 연시우로 모두 10호가 살았는데, 양반이 5명, 농사꾼이 5명이었다. 호주 성씨별로는 곡산연씨 5명, 청주한씨 2명, 원주원씨 1명, 충주지씨 1명, 전주이씨 1명이 거주하였다. 대부분 2칸짜리 초가집에서 살았다. 2통은 통수의 이름부분이 잘려나가 한씨인것만 확인된다. 모두 10호가 살았는데, 양반이 6명, 농사꾼이 3명, 직업이 밝혀지지 않은 사람이 1명등이다. 대부분 2칸짜리 초가집에서 살았다. 3통의 통수는 연병연으로 모두 8호가 살았는데, 양반이 1명, 농사꾼이 7명으로 밝혀졌으며 대부분 2칸짜리 초가집에서 살았다.
광무 연간(光武:1897∼1907)의 청안군(淸安郡) 북면(北面) 백암리(白岩里) 호적대장(戶籍臺帳)에 따르면 면장(面長)과 이장(里長)에 해당하는 집강(執綱)과 존위(尊位), 그리고 통장(統長)에 해당하는 통수(統帥) 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이 호적대장에는 호주(戶主)의 이름과 나이(歲), 본관(本貫), 직업(職業), 아버지(父)·어머니(母)·할아버지(祖父), 증조할아버지(曾 祖父)·외할아버지(外祖父)의 이름이 기록되 어 있으며, 부인(婦人)·아들(子, 孫子女 포함)·며느리(子婦)의 이름과 나이, 그리고 가옥(家屋)의 규모(規模)가 명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광무 연간(光武:1897∼1907)에 오늘날과 같은 지방행정 조직(面·里·統)이 구축됐음을 알 수 있다.
백암리(뱀티)의 지명은 노암리 뒷산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에서 ‘흰 물이 흘러내렸다’는데서‘백암(白岩)’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마을에는 우환이 그치지 않았다. 그저 전전하던 차에 명풍수(名風水)로부 터“마을에서 백암이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에 우 환이 그치지 않는다”는 원인을 알게 되었다. 이에 마을에서 백암이 보이지 않도록 큰 나무를 심어 백 암을 가렸다. 이후로 마을에는 우환이 그쳤다. [증평문화원]
도안면 노암리 뱀티마을(道安面 老岩里 뱀티마을)
노암2리(老岩二里) :뱀티/백암(白岩) : ‘뱀티’는 두타산에서 뻗어 내린 산등성이에 자리 잡은 산촌마을이다. 이 마을 동쪽에는 ‘둥구머리’가, 서쪽에는 증평읍 미암4리 ‘대지랭이’가, 남쪽
king6113.tistory.com
'충북의 바람소리 > 증평군(曾坪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평향토자료관 신경행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曾坪鄕土資料館 辛景行淸難功臣敎書 및 關聯文籍) (0) | 2025.02.22 |
---|---|
좌구산 휴양랜드 풍경 (0) | 2025.01.13 |
율리 김득신 묘소(栗里 金得臣 墓所) (0) | 2025.01.09 |
율리 삼기저수지(栗里 三岐貯水池) (0) | 2025.01.08 |
증평읍 율리 석조관음보살입상(曾坪邑 栗里 石造觀音菩薩立像) (2)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