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월면 산척리 이상설생가(梨月面 山尺里 李相卨生家)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진천군(鎭川郡)

이월면 산척리 이상설생가(梨月面 山尺里 李相卨生家)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25. 4. 7. 09:08

이월면 산척리에 있는 보재 이상걸 선생의 생가와 사당 그리고 묘지와 함께 근간에 세운 박물관이 있습니다.

 

이상설의 호는 보재(溥齋)이고, 자는 순오(舜五)이다. 선생은  학자인 이행우(李行雨)의 아들로 태어나 1894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교수, 한성 사범학교 교관 등을 역임하였다. 7개 국어를 구사하였고 이시영, 이규형 등과 신학문을 공부하였다.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무효를 상소하고 자결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북간도 용정을 중심으로 자녀교육과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1907년 고종의 밀서를 가지고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조선이 독립국임을 알리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917년 니콜리스크에서 생애를 마칠 때까지 전 생애를 바쳐 조국의 국권회복과 나라의 독립을 위해 힘썼다. 사진 멀리 근간에 신축한 이상설전시관이 보입니다.

 

 

사당인 숭렬사 앞마당에는 이상설선생숭모비와 함께 이상설선생의 전신조형물 그리고 유허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진천 이상설 생가는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에 있는 독립운동가 이상설(李相卨, 1870〜1917) 선생이 태어난 집이다.

이상설의 생가는 붕괴되어 1988년 복원하였고, 1998년 고증을 통해 본채와 헛간채를 원형에 가깝게 복원 수리하였다. 전체적인 배치는 정남향한 본채와 마당 그리고 건너편에 헛간채로 이루어지고, 본채의 왼쪽 후면에 장독대가 설치되어 있다. 헛간채에 면해서 본채와 마당을 둘러싸고 나무울을 설치하고 헛간채 옆 남쪽에 사립문을 설치하고 있다. 본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一자형 평면으로 이루어진 초가이다. 평면구성은 가운데 칸에 안방이 있고 왼쪽에 부엌과 오른쪽에 반 칸 크기로 토광이 전면으로 돌출된 웃방을 두고 있다. 안방 전면 툇간에는 흙바닥으로 된 봉당이 있고, 방 앞에는 디딤돌이 있다. 부엌은 몸채보다 반 칸 돌출하여 설치되고 거적을 달아 문 역할을 하고 있다. 부엌에는 안방 쪽으로 부뚜막을 설치하였다. 안방과 웃방 사이에는 여닫이문을 설치하여 서로 연결되고 있다. 웃방 앞의 토광은 곡식을 저장하고 있다. 구조는 자연석기단 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네모기둥을 세우고 있다. 벽체는 흙벽돌을 쌓은 후 진흙으로 마감한 토담집이다. 가구는 3량가이고 지붕은 초가이다. 초가는 볏짚으로 이엉을 엮어 추위와 더위를 막는 농경사회에서 최적화된 주거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마당 건너편의 헛간채는 측간과 잿간, 헛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는 본채와 같은 형식의 토담집이다. 측간과 잿간에는 거적문을 설치하고 있다.
진천 이상설 생가는 조국의 국권 회복을 위해 평생을 바친 이상설 선생이 태어난 유서 깊은 곳으로 의의가 있으며 생가는 토담집으로 지역적이고 민속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