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충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각연사
- 공산성 선정비
- 충북의 문화재
- 효자각
- 부도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곡산연씨
- 경주김씨
- 청풍문화재단지
- 사인암
- 단지주혈
- 밀양박씨
- 법주사
- 선돌
- 국립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문
- 공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구곡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월면 사곡리 이집묘갈(梨月面 沙谷里 李楫墓碣) 본문
이월면 사곡리에 있는 조선중기의 효자 이집(李輯)의 묘소이다. 봉분 앞에는 상석, 망주석을 갖추었으며, 봉분 왼쪽에 대형 묘갈을 세웠다.이집의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고 한다. 부모가 병으로 누워 있으면 옷을 벗지 않고 웃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며, 대변을 맛보아 병을 짐작하고 밤에는 밖에 나가 하늘에 기도하였다고 한다. 부모상을 당해서는 3년상을 치르면서 날마다 죽만 먹고 슬프게 哭하였다고 한다. 1717년(숙종43)군내 유림들의 천거로 3년 뒤인 1720년 사헌부 지평에 추증되었으며, 1725년(영조1)에 효자 정문을 세우게 하였다.
이집 묘갈은 방형대좌 위에 높이 143cm, 너비 61cm, 두께 27cm의 오석비신을 세우고 가첨석을 얹었는데, 가첨석의 상단부에 여러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다투는 듯한 형상을 매주 정교하게 조각하여 특이한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그 하부의 양각도 우수하다.
비문은 ‘통덕랑증사헌부지평이공집지묘(通德郞贈司憲府持平李公緝之墓) 공인문화유씨부좌(恭人文化柳氏附左)’로 전라감사 김조택(金祖澤)의 글씨이다. 3면비로 비문은 이조참판 이재(李縡)가 짓고 글씨는 좌부승지지제교(左副承旨知製敎) 이중협(李重協)이 썼으며, 1727년(영조3)에 세웠다.
이집 묘갈은 개인공장 마당을 통해 들어가야 합니다.
위에 보이는 이정표가 세워진 곳으로 진입을 하면 넒은 공터를 만날수 있으며 공터와 인접한 작은 언덕에 묘와 함께 묘갈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집 묘갈의 건너편으로는 왜가리 번식지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충북의 바람소리 > 진천군(鎭川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백면 평산리 김덕숭신도비(文白面 平山里 金德崇神道碑) (0) | 2025.03.30 |
---|---|
문백면 평산리 김귀성신도비(文白面 平山里 金貴誠神道碑) (0) | 2025.03.30 |
진천읍 산척리 이경선충신문(鎭川邑 山尺里 李慶善忠臣門) (0) | 2025.03.29 |
문백면 평산리 김덕숭묘지(文白面 平山里 金德崇墓地) (0) | 2025.03.28 |
이월면 사곡리 김덕숭효자문(梨月面 沙谷里 金德崇孝子門)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