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곡산연씨
- 부도
- 효자문
- 공주박물관
- 효자각
- 충주박물관
- 밀양박씨
- 화양동 암각자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국립청주박물관
- 사인암
- 티스토리챌린지
- 문의문화재단지
- 오블완
- 사과과수원
- 선돌
- 부여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화양구곡
- 각연사
- 문경새재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단지주혈
- 충북의 문화재
- 상당산성
- 법주사
- 청주박물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진천읍 산척리 이경선충신문(鎭川邑 山尺里 李慶善忠臣門) 본문
이경선은 1598(선조33)~1636(인조14)조선 중기 의병장입니다. 이경선(李慶善)은 경주인이며 이시발(李時發)의 아들로 1611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양촌마을에서 출생하였다.그는 23세 때 과거에 급제한 천재로서 호조좌랑(戶曹佐郞)을 거쳐, 남포현감(藍浦縣監-현감은 지금의 군수)으로 있었을 때다.1636년 12월 14일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적병이 서울에 침입하였다. 당시 인조 대왕(仁祖大王)께서는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파천(播遷)하셨다. 이 때 이경선(李慶善)은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로 근왕병(勤王兵-의병과 같은 군사) 2,432명을 인솔하고, 밤길을 걸으면서 수원산성까지 갔다. 그 곳에서 3일 동안 머물면서 남한산성의 소식을 듣고 있다가 다시 수원 만의산(万義山) 아래에서 하룻밤을 묵은 뒤에 다음날 양지읍(陽智邑)까지 나갔다.
이 곳에서 하룻밤을 묵은 뒤에 남한산성으로 가려고 할 때 만여 명이 넘는 호적의 대부대가 진을 치고 있기에 앞으로 더 나가지 못했었다. 하는 수 없이 여기서 진을 치게 되었으니 이 곳이 검천(檢川)(현 광주(廣州))이다.
이 전쟁에 참가한 중심 인물은 충청 감사 정세규(忠淸監司鄭世規) 금정찰방 이상재(金井察訪 李尙載) 전참판 최진립(前參判 崔震立) 연산현감 김홍익(金弘翼) 전 부사 황백(前 府使 黃柏) 전 부사 이건(前 府使 李鍵) 심약 이시량(審藥 李時亮) 등 여러 사람들이었다. 다음날 새벽에 적병들이 안개 속을 헤치며 높은 산에서 습격하여 왔다. 아무 준비도 없이 갑자기 당하는 일이었지마는 모두들 용감하게 싸웠다. 그러던 중에 충청감사 정세규(鄭世規)는 절벽에서 떨어졌다. 그러나 다행하게도 죽지는 않았다. 그러나, 연대장 5명은 그 자리에서 전사하였다. 오직 남은 사람은 이경선 김홍익(金弘翼) 두 사람 뿐이었다.
이경선은 군량미를 쌓아 놓은 노적 위에 올라가서 충청감사를 대신하여 군사를 지휘하였다. 군사 중에서 후퇴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 자리에서 목을 베었다. 그러기에 군사들은 흩어지지 않고 적병들과 용감하게 싸웠다. 이것은 이경선의 힘이 컸었다. 그 때 감사가 어디로 갔는지 보이지 않는다고 하면서 군중 속의 일부에서는 술렁대기 시작하였다. 그런 모습을 보자 이경선은 즉시 눈치를 차리고 위엄있는 목소리로,
“우리는 적과 싸워야 한다. 만일 여기서 감사가 있느니 없느니 하면서 질서가 어지러워지면 우리는 적과 싸우지도 못하고 모두들 앉아서 죽고 만다. 어찌 이런 위급한 때에 개죽음만 당하고 말겠는가. 우리는 목숨을 걸고 끝까지 싸워야 하지 않겠는가. 목숨도 가볍게 여기고, 한 사람이 남을 때까지 끝까지 싸우면 안될 일이 있겠는가?”
라고 외쳤을 때 군중들은 동요하지 않고 침착한 모습을 했었다.
즉시 말을 타고 칼을 들고 적진에 들어가서 적과 싸웠다. 삽시간에 적군의 목이 10개나 떨어진 모습을 보고 있던 군사들은 더욱 용기를 얻어 적군과 힘차게 싸웠다.이경선은 적진에 들어가서 적병의 목을 베기 시작했다. 동에 번쩍 서에 번쩍이면서 날쌔고, 용감무쌍하게 싸워댔다. 그러던 중에 말이 적의 화살에 맞아 쓸어졌다. 이경선은 재빨리 말에서 뛰어 내리여 적병들과 싸웠다.
이 때 적의 기습 공격에 칼이 부러졌고, 다른 군사가 버린 칼을 재빠르게 쥐고 또 싸웠다. 왼손에는 인부(印符)를 굳게 쥐고 적병의 왼팔을 쳤으며, 오른손에 쥐고 있는 칼로는 적병들의 심장을 찔러댔다.또 다시 쏜살같이 적장에게 달려가 적장의 코를 물어 뜯어댔다. 그 때 적병은 이경선의 목을 쳤다. 김홍익(金弘翼)과 같이 용감하게 싸우다가 끝내 두 분이 전사를 하시고 말았으니 그 때가 27일 이었다.병자호란은 끝이 났다. 형 경충(兄 慶忠)은 다음 해 정월 19일에 이경선의 시체를 찾으려고 검천으로 갔다. 그 곳에는 시체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노적 위에 가보니 생시에 언제나 차고 다니던 가죽주머니가 있어 이것을 보고 곧장 시체를 찾아냈다.
그러나, 전신이 칼에 찔려 성한 곳이 조금도 없었다.
우리들은 이것으로 보아 호병들이 얼마나 잔인무도 하였는가를 낱낱이 알 수가 있었다.
이 이야기는 나만갑일기(羅萬甲日記)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경충은 아우 이경선의 시체를 거둔 뒤에 진천군 덕산면 산척리 산직말(鎭川郡 德山面 山尺里 山直村)에 장사를 지내고 넋을 위로해 주었다.
'충북의 바람소리 > 진천군(鎭川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백면 평산리 김귀성신도비(文白面 平山里 金貴誠神道碑) (0) | 2025.03.30 |
---|---|
이월면 사곡리 이집묘갈(梨月面 沙谷里 李楫墓碣) (0) | 2025.03.29 |
문백면 평산리 김덕숭묘지(文白面 平山里 金德崇墓地) (0) | 2025.03.28 |
이월면 사곡리 김덕숭효자문(梨月面 沙谷里 金德崇孝子門) (0) | 2025.03.28 |
문백면 평산리 양성이씨하녀묘지(文白面 平山里 陽城李氏下女墓地)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