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풍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법주사
- 문의문화재단지
- 선돌
- 곡산연씨
- 효자각
- 부여박물관
- 부도
- 공산성 선정비
- 화양구곡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한독의약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오블완
- 청주박물관
- 밀양박씨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단지주혈
- 티스토리챌린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문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사인암
- 보성오씨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소이면 비산리 미타사마애불(蘇伊面 碑山里 彌陀寺磨崖佛) 본문
소이면 비산리에 위치한 미타사 못미쳐에 있는 자연암반에 새겨진 마애불입니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미타사에 있는 고려 후기의 마애불. 불상의 머리 부분과 어깨 부분만 양각으로 처리하였고, 양손과 허리, 하반신 부분은 음각선으로 처리해 불상의 윤곽만을 나타냈다. 머리에는 두건형의 관모를 썼으며 상호는 원만자비상으로 비만한 편이다. 양 눈썹에서 코까지 연결되는 선은 뚜렷하나 두 눈과 입은 선명하지 않고, 양쪽 귀는 크고 뭉툭하다. 목은 매우 짧고 삼도의 흔적이 없다. 어깨는 당당한데, 거의 수평을 이루어 사실감이 없다. 법의는 통견(通肩)으로 어깨 부분의 조각이 뚜렷하지 않으나 양팔에서 늘어뜨린 옷주름이 V자형을 이루었고, 복부 아래는 6조 평행의 사선으로 표현하였으며, 허리 아래 부분에는 하향하는 직선 무늬가 희미하게 있다. 수인(手印)은 마멸되어 뚜렷하지 않으나 오른손은 가슴 앞에서 엄지와 중지를 펴고 내장(內藏)하였고, 왼손은 가슴 앞에서 엄지와 넷째, 다섯째 손가락을 펴서 내장한 것으로 보아 아미타불의 구품인(九品印) 가운데 한 형식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체 부분은 좌우측의 윤곽선만 나타내었고 발은 현재 지하에 매몰되어 있어 형태를 확인할 수 없다. 전체 높이는 405㎝이며, 민머리 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높은 머리 묶음, 부피 있는 네모난 얼굴 등이 특징적이다. 또한 평판적인 신체, 직선적인 윤곽, 얇게 빚은 듯한 계단식 옷주름 등에서 통일신라 후기의 불상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추정된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충북의 바람소리 > 음성군(陰城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을 언제나 찾나? (0) | 2025.05.13 |
---|---|
음성읍 읍내리 독립기념비(陰城邑 邑內里 獨立記念碑) (0) | 2025.01.07 |
음성읍 읍내리 음성군 유래비(陰城邑 邑內里 陰城郡 由來碑) (0) | 2025.01.07 |
음성읍 읍내리 경호정(陰城邑 邑內里 景湖亭) (1) | 2025.01.05 |
음성읍 읍내리 삼층석탑(陰城邑 邑內里 三層石塔) (0)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