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법주사
- 부도
- 문경새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선돌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청풍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부여박물관
- 화양구곡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경주김씨
- 곡산연씨
- 사인암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각
- 오블완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충북나그네
- 상당산성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80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홍구범(洪九範 1923~?) 1923년 충주에서 태어난 홍구범은 충주군청에 잠시 동안 적을 두었다가 청년기 이후로는 서울에 살면서 김동리 · 모윤숙과 교분이 두터웠다. 해방 후 단편 ‘봄이 오면’을 발표하여 등단한 후 우익계통의 문학단체에서 활동하다가 6 · 25때 미아리에서 납..
연지골에서 길건너 약 300미터 정도 마을길로 올라가면 넓은 콩밭가운데 잘 정돈된 삼방리 석탑을 만날수 있다 안내판이 잘보이게 큼지막하게 자리하고 있다 찾았을때가 한낮이라 마을도 조용하다 마을정자에서 바라본 삼층석탑이다 석탑의 보수흔적이 보인다 그래도 마을에서 관심이 ..
중원창동리 약사여래입상과 오층석탑 창동 마애불을 구경하고 주차장에 그냥 차를 둔채 충주 중앙탑쪽으로 100여미터 걸으면 상가가 있는 곳에 중앙에 자리하고 있다 지금은 상가와 음식점이 있는곳에 조성이 되여 있다 고고한 탑의 모습을 보며 절터의 모습을 한번 머릿속에 그려봤다 ..
원평리 미륵불 충북 도지정 유형문화재 18호로 지정된 원평리 미륵불과 유형문화재 235호로 지정된 원평리 삼층석탑을 찾았습니다ㅣ 충주 원평리 미륵댕이 부처입니다. 문외한인 제가 보기에는 보존상태가 상당히 양호한 듯 합니다. 1894년 동학농민군이 이곳에서 새로운 세상을 꿈꾸며 ..
중원고구려비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구려 석비로,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공략하여 개척한 후 세운 기념비로 추정된다. 1979년 입석마을 입구에서 발견되었는데, 오랜 세월이 흐른 탓에 발경 당시 비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있었다. 석비는 돌기둥 모양의 자연석을 이용..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창동리 남한강변의 암벽 위에 조각된 고려시대 마애불상. [개설] 창동리 남한강변의 암벽 위에 얕은 부조로 조각된 마애불로 동남향을 향하고 있으며 높이는 4m이다. 불상의 중앙 부분이 철 성분으로 인해 붉은색을 띠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임진왜란 때..
산비탈 두 곳의 커다란 암벽에 시기를 약간 달리하여 부조(浮彫)로 조각되어 있는 9구의 불·보살상(佛·菩薩像)이다. 상부에는 높이 3.5m, 폭 8m의 바위면에 불좌상 1구가 양각되어 있고, 하부에는 불좌상 1구와 공양상(供養像)·반가상(半跏像)을 중심으로 5구의 보살상 등 모두 8구가 새겨..
숭선사는 고려 광종 5년(954)에 광종이 어머니인 신명순성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세운 절이다. 절터 부근에서 발견된 '숭선사(崇善寺)'라고 씌여진 기와를 토대로 이곳이 '숭선사'였음을 알 수 있다.충북대학교 박물관의 3차(2000∼2002)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금당 외 탑지, 회랑지 등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초창 이후 3차례에 걸쳐 중수된 것으로 추정된다.사원배치는 전형적인 고려시대의 양식으로 남문지·탑지·금당지·영당지·회랑지·동문지 등의 건물지가 확연하며, 건물의 세부적인 유구는 건물 기단부의 화강암 석축기단·주초석·적심석·석축배수로·전돌포장, 답도, 탑의 적심, 우물, 온돌 등이 원래의 모습으로 보존되고 있어 고려시대의 건축유적으로서의 보존이 필요하며 한국건축사사료로서 매우 큰 가치를 지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