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화양구곡
- 화양동 암각자
- 밀양박씨
- 부도
- 공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국립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법주사
- 보성오씨
- 선돌
- 경주김씨
- 충북의 문화재
- 문경새재
- 한독의약박물관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청풍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문
- 사인암
- 효자각
- 각연사
- 단지주혈
- 충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곡산연씨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71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음성한독의약박물관에 있는 인삼등 귀한 한약재를 보관하던 상자입니다.나전인삼갑은 조선시대에 인삼과 같은가의 약재를 보하기 위해 사용된 상자입니다. 표면에는 광채 나는 자개조각으로 당초(唐草)무늬를 장식하였으며, 그 형태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히 내부는 방습과 방충등을 위해 특수 설계된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이 자개상자는 왕실에 인삼 등을 진상하거나 중국 사신에게 선물로 전달할 때 사용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https://youtu.be/hHeDZh_f3hk

미타사 오르는 길 나란히 서있는 비석2기.충주목사를 지낸 이국헌과 엄찬의 비석이 나란히 서있다.이국헌의 비석을 이름도 생소한 이채청이라는 가공의 인물의 비석이라고 적어 놓았으니...몇 번 메일을 보내고 하였지만 돌아 오는 대답은 영 신통찮고 언제나 제 이름을 찾으려나?

화곡 2리는 화곡리 행정리동의 하나로 원래 충주군 주덕면의 지역으로 화개산 골짜기가 됨으로 화곡리라 칭하여 법정리가 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중리(中里), 계막(桂幕), 이암리(耳岩里) 일부를 합병하였고 현재 화곡2리는 원화곡으로 불려지고도 있으며 마을자랑비나 최근에 설치된 다리명에도 ‘원화곡’이라 씌여지고 있다. 자연마을은 계막, 강당, 구야, 여의래, 곰실, 검박골, 동막골 등으로 불려 왔으며 한때 본 마을의 원거주지인 여의래(如意來)는 원래 여의천(如意川)이라고 칭하였으나 수차례 수해를 보게되고 기근이 잦아 내 천(川)이 불길하다고 하여 올 래(來)로 개칭되어 여의래로 바뀌었다는 전설이 있기도 하다. 그후 행정구역은 주덕면 원화곡과 계막으로 분리되어 오다가 1990년 1월 1일자로 ..

어머니를 살리기 위해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割股) 정성껏 달여 드렸다.20여리의 험한 산길을 마다하지 않고 3년 동안 매일 어버이 묘소를 찾아 성묘 호곡했다.조선 후기 대청호 인근에 살았던 차륜도·차륜주 형제 이야기다.대청호산책로를 지나다보면 불과 40m 거리에 차륜도·차륜주 형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한 정려각이 있지만 그냥 지나치기 쉽다.입간판이 있지만 ‘차륜도·차륜주 정려각’이라는 명칭만 표기 돼 있고 가는 길도 대청호산책로와 달라 사람들의 접근이 쉽지 않다. 정려각에 접근하는 길이 좋치가 않다 과수원 안에 정려각은 자리하고 있다멀리서 정려각을 목표로하여 찾아들어갈수가 있다 차로 진입하기가 어려우니 마을에 차를 두고 찾으면 된다. 차륜주 ․ 차륜도 (車輪周 ․ 車輪道) 정려각거주 : 대덕구 미호동차..

진천읍 연곡리 삼층석탑(鎭川邑 蓮谷里三層石塔 ) 진천읍 연곡리 삼층석탑(鎭川邑 蓮谷里三層石塔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탑. 연곡리 삼층석탑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 483번지[김유신길 641] 비선골마을의 폐사지에 신축된 보탑사 지장전의 좌측에 모셔king6113.tistory.com 진천읍 보탑사에 있는 연곡리 삼층석탑입니다.부처님 오신날 꽃공양 받으며 잘 계시네요.

단월동 단호사 철불좌상(丹月洞 丹湖寺鐵佛坐像 ) 단월동 단호사 철불좌상(丹月洞 丹湖寺鐵佛坐像 )비가 내린다. 참 그만와도 되련만 억수로도 내린다.단호사를 칮는 날도 참 억수로 비가내렸다. 불상이 봉안된 단호사는 창건 연대를 알 수 없으나 조선 숙종 때 중건하여 약사(藥寺)라 하였고, 19king6113.tistory.com충주 단호사 삼층석탑 - 디지털충주문화대전 충주 단호사 삼층석탑 - 디지털충주문화대전[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단호사에 있는 고려 전기 석탑. [개설] 단호사는 충주시에서 상당히 고찰(古刹)에 속하는 사찰이다. 현재는 작은 규모의 사찰이지만, 철불과 석탑이 남아 있는 것chungju.grandcultur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