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티스토리챌린지
- 충북의 문화재
- 밀양박씨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부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각
- 사인암
- 단지주혈
- 문경새재
- 화양구곡
- 선돌
- 오블완
- 충주박물관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법주사
- 상당산성
- 한독의약박물관
- 보성오씨
- 곡산연씨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 (309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금암리 부봉사에 있는 고려시대 불상. [형태] 1979년 부봉사를 창건한 뒤 그 무렵에 충청남도 천안시 병천면 봉황리에서 옮겨 와 보수를 거쳐 복원한 것으로 보인다. 불상의 높이는 145㎝이며 광배와 대좌가 결실되어 근래에 만든 이층 연화대좌 위에 안치되어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이다 진천읍 지암리 미륵산 중턱에 있는 사찰이다 충북 유형문화재 216호인 지암리 석조여래입상이 있다
고려 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무신이자 권신. [가계] 본관은 상산(常山)[진주(鎭州), 현재의 진천]. 초명은 승주(承柱). 아버지는 누구인지 모르며, 어머니는 이씨로 진주(鎭州) 주리(州吏)의 딸이다. ‘상산’이라는 본관은 상산임씨의 시조인 임희가 상산백(常山伯)에 봉작된 것에서 유래한다. 후손들이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구산동에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활동사항] 임연(林衍)[?~1270]은 지금의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에서 태어났다. 벌과 같은 눈매와 승냥이 같은 소리를 내는, 즉 봉목시성(蜂目豺聲)의 험상궂은 인상을 가졌으며 재빠르고 힘이 세어 능히 몸을 엎드려 팔로 다니며 기와를 지붕 위로 던졌다고 한다. 일찍이 대장군 송언상(宋彦祥)의 군중(軍中)에서 허드렛일을 하는 시양졸(廝養卒)로 일..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산수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건립경위 및 변천] 성림사는 1979년 수풀 속에 싸여 있던 마애불이 발견되면서 세워진 사찰로서 절 앞의 편평한 밭에서 와편과 토기·자기편이 많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이곳이 옛 절터임은 분명하며, 고려시대의 마..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산수리 성림사에 있는 고려 후기 불상. [형태] 진천 산수리 마애여래좌상은 성림사(成林寺)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다. 큰 바위의 한 면에 마애불을 조성하고 법당을 지어서 불상의 뒷부분이 벽면에 붙었으며 암반은 벽을 뚫고 산 쪽으로 연결되어 있다. 불상의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