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한독의약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선돌
- 법주사
- 사과과수원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국립청주박물관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도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곡산연씨
- 청풍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문의문화재단지
- 오블완
- 충북의 문화재
- 효자문
- 충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문경새재
- 각연사
- 효자각
- 부여박물관
- 상당산성
- Today
- Total
목록김덕숭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에 자리하고 있는 모암공 강릉인 김덕숭의 신도비입니다. 한쪽으로는 예전 신도비가 자리하고 있는데 이번에 후손들에 의해서 새로운 신도비를 만들었습니다.옆에는 신도비를 만들며 물질적으로 헌신한 종중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 오석도 일기 세워져 있습니다. 문백면 평산리 김덕숭묘지(文白面 平山里 金德崇墓地) 문백면 평산리 김덕숭묘지(文白面 平山里 金德崇墓地)김덕숭의 효행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미 효행으로 1448년(세종 30) 명정되었고, 1633년(인조 11)에 이월면 사곡리 사지 마을에 효자문이 세워졌다. 김덕숭은 부모를 공양하는데 정성을 다king6113.tistory.com 이월면 사곡리 김덕숭효자문(梨月面 沙谷里 金德崇孝子門) 이월면 사곡리 김덕숭효자문(梨月面 沙..

김덕숭의 효행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미 효행으로 1448년(세종 30) 명정되었고, 1633년(인조 11)에 이월면 사곡리 사지 마을에 효자문이 세워졌다. 김덕숭은 부모를 공양하는데 정성을 다해 세종 행차 때 그 효행 사실을 듣고 술과 고기를 내리고, 감사를 통해 백미를 내리도록 하였다. 그의 사후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증직하고 어제시를 3수 내렸다.그의 효행 사실은 『동국신속사강행실東國新續三綱行實』에 실려있다.김덕숭의 묘소는 문백면 평산리에 있다. 묘소 입구에는 1928년에 세운 신도비가 있다. 이월면 사곡리 김덕숭효자문(梨月面 沙谷里 金德崇孝子門) 이월면 사곡리 김덕숭효자문(梨月面 沙谷里 金德崇孝子門)진천군 이월면 사곡리 사미마을 끝에 자리하고 있는 강릉인 김덕숭의 효자문입니다.효자문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장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이다 백원정(百源亭)은 진천읍 장관리 원장관마을 종박물관 뒷쪽 송림이 우거진 야트막한 언덕에 자리하고있다 백원정 주위에는 밭등으로 개간되여 사용되고있다. 종박물관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걸어서 5분 거리에 위치하고있다.백원정을 찾기위해서는 장관리 보다는 종박물관을 찾아야 한다. 백원정은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신잡(申磼)이 세종조의 문신이자 효자로 이름난 김덕숭(金德崇)[1373~1448]을 추모하여 백원서원(百源書院)이라는 사당과 함께 진천군 이월면 사곡리에 지었다고 한다. 백원정이란 이름은 ‘효는 백행(百行)의 근원’이라는 데서 따온 것이라 한다.이후 소실되었던 백원정을 1958년 김덕숭의 21세손인 김동휘(金東輝)가 김덕숭이 잉어를 잡았다는 여계소(..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사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김덕숭의 정려. 조선 세종 때 한산군수를 지낸 김덕숭은 효심이 대단했다. 엄동설한에 병환으로 고생하던 어머니가 잉어를 먹고 싶어 해서 지금의 백곡저수지 아래 여계소(女溪沼)에 내려가 얼음 위에 무릎을 꿇고 며칠간 기도를 올렸는데, 무릎 자리가 녹아 생긴 구멍으로 잉어 2마리가 나와 1마리는 살려주고 다른 1마리를 가져와 어머니께 고아 드렸더니 병환이 씻은 듯이 나았다는 일화가 전한다. 세종은 김덕숭이 세상을 떠난 1448년(세종 30) 그의 효행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기록하고 정려(旌閭)를 건립하게 하였다. 김덕숭 효자문은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사곡리 산50번지에 위치한다. 진천군청에서 벽암사거리를 거쳐 장수로 장관리 방면으로 우회전한 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