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법주사
- 부도
- 문의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경주김씨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문
- 사인암
- 보성오씨
- 효자각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상당산성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문경새재
- 화양동 암각자
- 곡산연씨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청풍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단지주혈
- 밀양박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선돌
- 충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삼방리 삼층석탑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hVWM/btsL2mC76n0/8mZzct7ZCwdAkO7svpkQs1/img.jpg)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에 있는 삼층석탑입니다.흰눈이 소복히 내린 날 찾아 보았습니다.이 곳에서 지근거리에 있는 안촌이 제가 어린시절에는 순창조씨들의 집성촌이었습니다.지금은 집성촌 개념이 사라지고 많은 일가친척들이 흩어졌지만 아직도 이 곳에는 저의 어린 추억들이 있는 곳입니다. 불정면 삼방리 삼층석탑(佛頂面 三訪里 三層石塔) 불정면 삼방리 삼층석탑(佛頂面 三訪里 三層石塔)1995년 6월 30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82호로 지정되었다. 밑에서부터 1층의 기단부(基壇部), 3층의 탑신부(塔身部), 상륜부(相輪部)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는 대석(臺石:면석) 위에 갑석(甲石)king6113.tistory.com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 - Daum 백과 괴산 삼방리 삼층석탑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에 있는 고려시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HYuN/btqESWygdl9/vNZfSIdhaiTBsJbRhLajek/img.jpg)
1995년 6월 30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82호로 지정되었다. 밑에서부터 1층의 기단부(基壇部), 3층의 탑신부(塔身部), 상륜부(相輪部)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는 대석(臺石:면석) 위에 갑석(甲石)을 올렸는데 대석의 각 면에는 우주(隅柱:모서리의 기둥)와 탱주(撑柱:중간의 버팀기둥)가 양각되어 있고 갑석의 윗면에는 2단의 탑신괴임이 돌출되어 있다. 탑신부는 각기 다른 석재로 만든 탑신석(옥신석)과 옥개석(屋蓋石)을 번갈아 3층으로 쌓았는데 탑신석에는 모두 우주가 양각되고 위층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팔작지붕처럼 생긴 옥개석은 윗면(낙수면)의 경사가 매우 급한 편이고 아랫면에는 4단의 각형받침이 선명하게 돌출되어 있다.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석탑이다. 기단과..
불정면 삼방리 탑촌마을에 있는 삼층석탑입니다. 1995년 6월 30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82호로 지정되었다. 밑에서부터 1층의 기단부(基壇部), 3층의 탑신부(塔身部), 상륜부(相輪部)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는 대석(臺石:면석) 위에 갑석(甲石)을 올렸는데 대석의 각 면에는 우주(隅柱:모서리의 기둥)와 탱주(撑柱:중간의 버팀기둥)가 양각되어 있고 갑석의 윗면에는 2단의 탑신괴임이 돌출되어 있다. 탑신부는 각기 다른 석재로 만든 탑신석(옥신석)과 옥개석(屋蓋石)을 번갈아 3층으로 쌓았는데 탑신석에는 모두 우주가 양각되고 위층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팔작지붕처럼 생긴 옥개석은 윗면(낙수면)의 경사가 매우 급한 편이고 아랫면에는 4단의 각형받침이 선명하게 돌출되어 있다. 특히 1층 탑신석의 각면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