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경주김씨
- 선돌
- 사과과수원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충주박물관
- 법주사
- 공산성 선정비
- 화양구곡
- 문경새재
- 각연사
- 사인암
- 문의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효자각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상당산성
- 효자문
- 단지주혈
- 화양동 암각자
- 공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오블완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쌍효각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시희와 이시걸은 아버지의 중환에 잉어가 약이 된다고 하여 구하려고 했지만, 겨울철이라 못이 얼어 구하기가 어려웠다. 그리하여 형제가 얼음 위에서 지성으로 기도를 드리자 잉어가 솟아나왔다. 어느 땐가 약을 구하기 위해 형제가 밤길을 나서자 호랑이가 나타나 지켜 주기도 했다. 아버지가 위독하자 이시희와 이시걸은 손가락을 잘라 피를 아버지의 입에 흘려 넣어 병을 낫게 했다.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시묘를 할 때는 3년간이나 호랑이가 와서 지켜주었다고 한다. 어머니가 병을 얻자 대소변을 맛보며 간호를 했고, 돌아가신 뒤에는 죽을 먹으며 시묘를 하는데, 형제간에 서로 묘소를 지키며 효를 다했다. 1722년(경종 2) 정려되었으며, 1756년(영조32) 형 이시희는 통정대부승정원 우승지 겸 경연참찬관에, 아우 이시..
이 쌍효각은 조선 선조 36년(1603) 효행으로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에 증직된 권몽남(權夢男)과 고종 24년(1887) 효행으로 중추부사(中樞府事)에 증직된 권만형(權萬亨)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정려이다. 건립연대는 미상이나 처음 세워진 곳은 보은군 회북면 쌍임이며, 1975년에 지..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대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이시희·이시걸 형제 효자문. [개설] 이시희, 이시걸 형제는 연안이씨 문강공(文康公) 이석형(李石亨)의 4세손으로 부친과 모친의 상(喪)을 당하여 형제가 함께 정성을 다해 시묘하였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1722년(경종 2)에 정..
[정의]충청북도 충주시 이류면 문주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 임천조씨 형제 비각.[개설]조재의(趙在義), 조재미(趙在美) 형제의 효성을 기리기 위해 1803년(순조 3)에 정려를 명하여 건립된 비각으로, 이들은 효성이 지극하여 온 정성으로 부친을 봉양하였으며, 상을 당하자 하루도 거르지 않고 성묘를 하였다. 이에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증직되고 정려가 세워졌으며, 아우 조재미도 같은 효자로 명정되어 쌍효각이 세워졌다.[위치]이류면 매현리 매현초등학교를 지나서 청간사(淸簡祠, 충주시 향토유적 제13호)를 지나 도로변 오른쪽 마을로 들어가면 강변 옆 야트막한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여기서 더 내려가면 충주 팔봉서원지(충청북도 기념물 제129호)와 수주팔봉 유원지가 있다.[형태]비각은 남향 배치로 정면 1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