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충주박물관
- 보성오씨
- 사인암
- 문경새재
- 선돌
- 공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각연사
- 법주사
- 곡산연씨
- 경주김씨
- 부도
- 한독의약박물관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상당산성
- 밀양박씨
- 효자각
- 오블완
- 효자문
- Today
- Total
목록양아록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블로그에 실린 문광면 유평리에 있는 매죽정의 글을 보고 블로그 지인이 올린 진입로 및 단청공사등이 모두 되었다는 답글을 보고 다시 한번 매죽정을 찾았습니다. 매죽정 까지 시멘트진입도로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따뜻한 날씨에 완연한 여름의 날씨입니다. 매죽정으로 오르는 길은 완만합니다. 짙푸른 신록이 참 좋습니다. 저 길 끝에 매죽정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매죽정과 관련이 있는 인물은 성주인 이해종(李海宗)입니다. 이해종(李海宗) 선생의 자(字)는 진백(進伯)이고 호는 매죽당(梅竹堂)이다.조선 선조 32년(1599) 괴산 문광면 호암동(범바우)에서 태어났으니 부친은 청산(靑山:옥천의 옛 지명)현감을 지낸 홍(鉷)이며, 조부는 양아록의 주인공 수봉(守封: 譜名 元培)이며, 증조는 춘추관 수찬을 제수 받은 온(熅)..
문광면 대명리 둑시마을 성주이씨 선산에 자리하고 있는 이원배의 묘지이다. 이원배는 이문건의 손자이며 어려서는 할아버지 글 읽는 모습을 따라 하기도 하고, 할아버지가 외출하면 늦게까지 기다리는 등 할아버지를 매우 따른다. 이처럼 아버지 대신 할아버지의 지극한 사랑을 받으며..
이문건의 묘지는 문광면 대명리 둑시마을 뒷산인 선산에 아들인 이온과 과 손자인 이원배의 묘소와 함께 자리하고 있다.이문건의 무덤아래 손자인 이원배의 묘가 있고 그 아레에는 아들인 이온의 묘가 있다.이문건의 묘는 경북 고령에서 이장하여 성주이씨의 선산이 있는 문광면 대명리에 안장하였다.이문건(李文建:1494-1567)과 그 부인인 숙부인 김돈이(金敦:1497-1566)의 합장묘는 본래 경복 고령군 운수면 흑수산에 있었는데 2012년 5월 30일 수요일 괴산군 문광면 둑시 성주이씨 묘역으로 이장했다. 이문건(李文楗) 1497(연산군 3)~1567(명종 22)자(字)는 자발(自發),호(號)는 묵재(黙齋)와 휴수(休叟)이다.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이문건의 9대조인 이장경(李長庚)은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
이문건(李文楗)은 1494(성종 25)∼1567(명종 22).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자발(子發), 호는 묵재(默齋)·휴수(休叟). 이함령(李咸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숙생(李叔生)이고, 아버지는 승문원정자 이윤탁(李允濯)이며, 어머니는 신회(申澮)의 딸이다. 이문건의 신도비는 근간에 세운것으로 문광면 유평리 마을입구에 세워져 있다. 이문건 [李文楗]은 일찍이 중형 이충건(李忠楗)과 더불어 조광조(趙光祖)의 문하에서 학업을 닦고, 1513년(중종 8) 중형과 함께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1519년 기묘사화로 조광조가 화를 입자, 문인들이 화를 염려해 조상하는 자가 없었으나 그의 형제는 상례(喪禮)를 다했다 한다. 이에 남곤(南袞)·심정(沈貞)의 미움을 받아 1521년안처겸(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