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산성 선정비
- 경주김씨
- 청풍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효자문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오블완
- 단지주혈
- 사과과수원
- 선돌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화양구곡
- 국립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보성오씨
- 곡산연씨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각연사
- 부도
- 청주박물관
- 사인암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밀양박씨
- 문의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용박골 (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Xref/btqGdsPXff3/ZFCHxhqlIO7GgM0AnI7iQ0/img.jpg)
동부우회도로를 달리다 보면 요즈음 한창 입주가 시작된 동남지구 아파트 단지가 있습니다 보살사라는 입간판을 보고 달리다 보면 낙가산 밑에 보살사에 이르게 됩니다 보살사가 위치한 낙가산은 관음보살이 머문 인도 남쪽 보타낙가산(普陀洛迦山)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지금은 한창 입주를 하는 아파트단지와 새로 짓는 아파트 등으로 조금은 어수선 하지만 옛길인 용박골길을 따라 들어서면 언제 그랬냐는 듯 고즈넉한 분위기를 느낄수 있습니다 보살사 밑으로도 이제는 많이 개발이 되었습니다. 전원주택 단지등으로 개발이 되어 여름이면 맛난 포도맛으로 유명한 보살사 포도밭들도 많이 없어지고 몇몇 포도밭이 남아 당도 높기로 유명했던 용암포도밭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보살사는 신라진흥왕28년(567년) 법주사를 창건한 의신조사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M8P0B/btqBMM7HSRP/ck4sM8WkpvwSy17yqhHB9k/img.png)
미세먼지로 날씨가 흐리다. 썰렁한 거리를 코로나라는 이상한 놈이 헤매고 있단다. 참 별일이여... 살다 보니 참 요상한 일도 많구먼. 구시렁구시렁 바람결에 세상 소식 듣는다고 하며 용박골 골짜기 보살사부도 헛기침하며 나를 맞아준다. 어째 또 왔데? 먼젓번에 왔다 갔잖아! 또 보고싶어서 왔지요 하는 나의 대답에 흐르는 겨울바람에 보살사 부도 가슴 여미며 얼굴 한번 매만진다. 20200207보살사부도
보살사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에 있는 신라시대의 사찰이다.567년(신라 진흥왕 28)에 의신조사가 창건하였다. 상당구 용암동 청주동부우회도로에서 용박골 쪽으로 2.5㎞ 정도 들어간 곳에 있다. 778년(신라 혜공왕 14)에 진표율사의 제자인 융종대사가 중창했다는 기록이 남아있고, 고려 918년(태조 원년)에 태조(太祖)의 다섯째 아들인 증통국사가 고쳐지었으며, 1107년(예종 2)에 자정국사가 중수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고려 공민왕 때 토지가 하사됐고, 1458년(세조 4)에 다시 어명으로 중수됐음을 밝히고 있다. 보살사에 대한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등 조선의 각종 지리지에 기록되어 있어 폐사되지 않고 계속해서 불사가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고..
취봉당탑(就峯堂塔)옹정8년 경술5월제자아(雍正8年 庚戌5月弟子芽)옹정8년이면 1730년으로 경술년이며 영조6년이다.같이 있는 자우당탑이 서기 1718년이므로 취봉당탑과는 약 12년의 간격이 있다.부도의 전체높이는 약 192센티이며 촤대폭은 85.4센티이다. 보살사 가기전 왼쪽 산허리에 조성되여 있는 민묘군밑에 자리하고 있다. 부도의 전면에는 취봉당탑(就峯堂塔)이라고 적혀있다.부도의 상태는 양호하며 보주는 앙련의 모습이며 연주문을 새겨 놓았으며 연주문 밑으로는 복련모양의 화문을 새겨 놓았다.부도의 대좌로는 팔각향의 돌을 거칠게 다듬어 사용하고 있다. 옹정8년 경술5월제자아(雍正8年 庚戌5月弟子芽)라고 적혀있다.이 부도의 조성시기인 듯 한데 옹정8년 이면 영조6년으로 서기 1730년이다. 이 부도의 특이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