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충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국립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각연사
- 오블완
- 화양구곡
- 효자각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밀양박씨
- 청주박물관
- 경주김씨
- 효자문
- 단지주혈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한독의약박물관
- 부도
- 법주사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선돌
- 곡산연씨
- 상당산성
- 청풍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Today
- Total
목록전의이씨 (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계형(季亨). 할아버지는 어영대장(御營大將) 이세선(李世選)이다. 무인 가문에서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 봉산군수·경상좌수사(慶尙左水使)를 거쳐 1733년(영조 9) 함경남병사(咸鏡南兵使)에 발탁되었다. 그 해에 공납(貢納)을 마구 거두어 들인 것으로 말미암아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으나, 전임자의 소행으로 밝혀져 무마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장살된 영교(營校) 배수현(裵守賢)의 원수를 갚으려는 아내 자근례(者斤禮)의 습격을 받아 왼쪽 둔부에 상처를 입었다. 변방의 장수가 일개 아녀자에게 상처를 입었다는 사실은 조정에 큰 파문을 일으켜 엄하게 처벌하자는 논의가 분분하였으나 파직에 그쳤다. 무인으로서의 뛰어난 재질과 병조판서 박문수(朴文秀) 등의 천거에 힘입어 곧 관직에..
진천 문백면 평산리에 접어들면 안능마을에 있는 충간재 뒤로난 오솔길로 남지장군묘와 신도비 가는 길이 보인다.소롯길을 조금 걷다보면 바로 만나는 무덤이다.누구의 묘일까? 하는 궁금증은 남지장군의 신도비 팻말을 보고서 해결되었다.남지의 부인인 전의이씨의 무덤이다.무덤의 형태는 남지의 묘와 같이 사다리꼴의 무덤으로 그 규모가 크다.후손들에 의하여 잘관리되고 있다. 조선 초 세종 때의 명신인 남지(南智)의 묘소와 신도비는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안능마을에 위치한다. 이 마을을 중심으로 후손들이 500여 년 전부터 세거했던 것으로 보인다. 의령남씨는 좌의정 남지를 비롯, 1728년(영조 4) 무신란 때 순절한 남연년(南延年)이 잘 알려져 있다. 남지는 조선 전기 충청북도 진천 출신의 문신이다.본관은 의령(宜..
증평읍 내성리에 위치하고 있는 전의이씨의 재실인 충효사 입니다. 야트막한 언덕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위에는 하동현감을 지낸 이의장의 신단비와 신단 그리고 유허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충효사(忠孝祠)라는 현판이 걸려 있으며 막돌을 이용하여 담장을 둘렀습니다.
증평읍 내성리에 있습니다. 내성1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내성리에 위치한 보건단지에서 고개를 넘으며 바로 우측으로 들어가는 길이있다 그 길을 따라 안으로 진입하면 야산 끄트머리에 자리하고 있다. 이의장의 신단비는 증평읍 내성리에 자리하고 있으며 신단비 윗쪽으로는 적벽돌로 두른 신단이 자리하고 있으며 신단옆으로는 이의장의 유허비가 있다. 신단비가 있는 곳에 있는 충효사(忠孝祠)라는 재실은 전의이씨의 재실인 듯 하다. 신단비의 전면에는 가선대부행하동부사전의이공의장신단비(嘉善大夫行河東府使全義李公義長神壇碑)라고 음기되어있다.
조선 광해군 4년(1612)에 역옹(轢翁) 이영길(李英吉, 1563~1659)이 세운 전의 이씨의 정자이다. 지금의 정자는 1950년에 중건하고 1983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3간 측면 2간이며 높이 2자의 주초석 위에 기둥을 세운 겹처마 팔작지붕의 2층 목조기와집으로 내부는 통칸 마루를 깔고 닭다리 난간을 둘렀으며, 1951년에 이석영(李錫永)이 쓴 "동고정(東皐亭)"이란 현판을 걸었다. 인조 7년(1629)에 이영길(李英吉)의 문인인 이의저(李懿著)가 지은 "동고정부(東皐亭賦)"가 있다. 조선 광해군 4년(1612)에 역옹 이영길(1563~1659)이 세운 전의 이씨의 정자이다. 지금의 정자는 1950년에 중건하고 1983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3간 측면 2간이며 높이 2자의 주초석 위에 기둥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