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화양구곡
- 사인암
- 한독의약박물관
- 문경새재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상당산성
- 보성오씨
- 문의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경주김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밀양박씨
- 청풍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문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공주박물관
- 충북나그네
- 충주박물관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법주사
- 오블완
- 청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Today
- Total
목록최성미마을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에 있는 함종인 어재연,어재순의 묘지입니다.충청북도기념물 제 162호로 지정되여 관리하고 있다. 성본토성은 대소면 성본리의 최성미 동남쪽 구릉에 있는 작은 토루이다. 성 안에는 1871년 신미양요 때 강화도에서 전사한 어재연(魚在淵) 장군 형제의 재실인 쌍충재가 있고, 그 뒤에 묘소가 있다.그 아래로는 신도비가 자리하고 있다. 어재순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다. 1871년 신미양요가 일어나 형 어재연이 진무중군이 되어 광성보를 지키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는 백의종군하였다. 그해 6월 미국 해병대와 싸우다가 형과 함께 전사하였다.형인 어재연의 묘지와 함께 자리하고 있다. 본관은 함종(咸從)이고, 자는 성순(聖淳)이다. 신미양요 때 미군과 싸우다가 전사한 어재연(魚在淵)의 아우이다. 벼슬에 나..
쌍충재(雙忠齋)는 대소면 성본1리인 최성마을에 위치하고 있다.최성미마을 안에는 해주최씨의 재실인 숭모재(崇慕齋)가 자리하고 있다.마을을 가로질러 길을따라 가다 삼거리에서 좌측길로 접어들어 길을 가다보면 만나는 작은산이 어병산이다. 쌍충재는 어병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성본1리인 최성미마을을 지나 어병산으로 가다보면 만나는 곳이다. 제법 넒은 공터가 있고 인삼밭이 자리하고 있다.차가 세워져 있는 곳에서 오른쪽으로 가다보면 4차선도로와 만나는 길이고 왼쪽으로 산길을 따라 5분 정도 가다보면 쌍충재를 만날수 있다. 어재연,어재순 산소와 그리고 함종어씨의 재실인 쌍충재 그리고 밑으로 어재연과 어재순의 신도비를 볼수있다. 이 곳에 작은 입간판이라도 하나 세워져 있으면 참 찾기가 쉽겠다 하는 생각을 바래본다...
숭모재(崇慕齋)는 성본1리인 최성미마을에 있는 해주최씨의 재실입니다.최성미마을을 접아들면 성본1리 경로당이 보이며 숭모재는 경로당 앞에 낮은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지금은 제대로 관리가 되지않고 있다 출입문도 떼어진체 방치되여 있고 재실 곳곳도 훼손되여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현대식 시멘트 청기와를 올렸다. 목조건물에 벽돌로 벽을 쌓았으며 주위에는 벽돌 담장을 둘렀다. 전면 처마에 ‘숭모재(崇慕齋)’라는 쓴 현판을 걸었다.최근에 지은 현대식 사묘로 청기와를 얹어 한옥의 모습을 갖추려 하였다. 조상을 숭모하는 후손들의 정성들이 집약된 재실로서 강학의 기능을 더한다면 가정교육의 산실이 될 가능성이 있다.관리가 필요하다. 최성미는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1리에 속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