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단지주혈
- 충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청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사과과수원
- 경주김씨
- 법주사
- 티스토리챌린지
- 상당산성
- 선돌
- 부도
- 사인암
- 보성오씨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구곡
- 효자문
- 문경새재
- 효자각
- 곡산연씨
- 각연사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화양구곡 첨성대 (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vmDu/btssLIYtRFk/sPkpePmfSUrGw6kyvzlEkk/img.jpg)
화양구곡의 제5곡인 첨성대 아래 냇가에 암벽에 새겨진 암각자입니다. 주위로는 비례부동 과 만절필동 등 송시열의 대명존숭을 나타내는 여러 암각자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당시의 청나라를 인정하지 못하고 명나라에 대한 모화사상이 화양동 계곡안에 가득합니다. 대명천지大明天地, 조선의 땅은 위대한 명나라 것이고 숭정일월崇禎日月, 조선의 해와 달 역시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의 것이로다. 송시열의 사대적인 숭명(崇明), 존숭(尊崇) 사상이 고스란히 새겨진 글씨입니다.此八字陪臣宋時烈嘗書與人者也 正宣於此山中謹模以勒(차팔자배신송시열상서여인자야 정선어차산중근모이륵) 현실에서의 시선으로는 참 이해가 되지않는 각자이지만 그 시대의 사회상과 함께 당쟁으로 얼룩졌던 조선의 아픔을 보는 듯 합니다. 부끄러움은 부끄러움으로 끝나는 것..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rdjCa/btssHz2bqVU/mjRKcXLjNYf6ADCYfbjNwK/img.jpg)
만절필동의 각자를 둘러보고 계곡물이 흐르는 냇가로 내려가서 20여미터 올라가다 보면 오른쪽 암벽에 새겨져 있었다고 전해지는 각자입니다.특이하게도 글씨를 바위에 새긴것이 아니라 석판에 새긴 후 그 석판을 암벽에 함을 만들어 끼워넣었다고 합니다. 석함 속에 ‘옥조빙호 만력어필(玉藻氷壺 萬曆御筆)’의 글이 새겨진 판이 끼워져 있었고 석문(石門)으로 봉해져 있었는데 누군가에 의해서 옥조빙호를 새긴 그 석판이 사라지고 지금은 남아있지 않습니다.아래 사진의 탁본은 석판이 사라지기 전, 괴산군 사리면 출신의 유학자이자 교육자인 우인규(禹仁圭, 1896~1967)라는 사람이 탁본한 것인데,그 탁본사진은 2012년 김근수(괴산향토사연구회장)씨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습니다.석판에는 아래의 탁본의 사진과 같이 ‘萬曆御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