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증펑읍 송산리 배극렴신도비(曾坪邑 松山里 裵克廉神道碑)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증평군(曾坪郡)

증펑읍 송산리 배극렴신도비(曾坪邑 松山里 裵克廉神道碑)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4. 6. 1. 06:42

 

배극렴의 신도비는 고종 25년(1888) 박성양(朴性陽)이 비문을 지어 세운 것으로 높이 200cm, 폭 45cm, 두께 31cm이다.

 

 

 

조선(朝鮮)의 개국공신인 배극렴(裵克廉 : 1325∼1392)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양가(量可), 호는 필암(筆菴), 문과에 급제하고, 고려에서 경상도 도순무사(都巡撫使)를 거쳐 조전원수(助戰元帥)가 됐으나, 이성계를 도와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성산백(星山伯)이 되고 문하좌시중을 지냈다. 시호는 정절(貞節)이다. 그의 묘소(墓所)는 증평소방서옆 송산교를 건너 송산리 방면으로 증평종합사회복지관을 지나 송산리 마을 두타산 대야봉 아래에 위치해 있다.
배극렴의 묘소는 장방형(長方形)으로 가로 3.47m·세로 4.37m·높이1.70m이고, 상석은 가로 1.20m·세로 0.84m·높 0.195m이다. 묘소에는 호석(護石)이 둘러 있고, 앞에는 장명등(長明燈)과 문관석(文官石), 양석(羊石), 향로석(香火盧石)등이 남아 있다.

 

 

 

 

 

그리고 묘소 20여m 아래에는 고종 25년(1888)에 대사헌 박성양(朴性陽)이 비문을 지은 신도비(神道碑)가 세워져 있으며, 묘소 앞 100m쯤에는 배극렴의 사당인 경절재(景節齋)가 있다.성산백(星山伯) 배극렴은 위위(衛尉 : 의장(儀裝)을 맡은 관아) 소윤(小尹 :종4품) 배현보(裵賢輔)와 성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해 진주·윤주 (晋州·尹州 牧使 : 정3품), 계림·화령부윤(鷄林·和寧 府尹 : 종2품), 합포진 첨사(合浦鎭 僉使 : 종3품) 등을 역임했고, 우왕2년(1376)과 우왕 4년(1378) 왜구 격파에 공을 세웠다. 이성계의 휘하에서 여러차례 왜구를 토벌하고 우왕 14년(1388) 조전원수(助戰元帥)로 위화도 회군(回軍)을 결행했다. 고려 말년 백성들 가운데“비의군자(非衣君子)의 지혜로 삼한(三韓)을 바로 잡는다”라는 말이 떠돌았는데 이는 [비(非)]와 [의](衣)를 합치면 [배(裵)]자인바 이는 배극렴을 가리켰다고 하니 고려 말 고려 국운이 기우는 민심과 당시 그의 덕망과 인품을 미루어 짐작할 만하다.

 

 

 

 

이후 1392년 이성계를 추대해 개국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되어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에 봉해지고,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후에 좌의정)에 이르렀다. 태조 이성계가 세자책봉을 의논할 때에“시국이 평온할 때는 적자를 세우고 세상이 어지러울때는 공이 있는 자를 세워야 한다.”라고 주장했다가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로 귀양을 갔다. 이후에 이방원이 임금이 된 후 귀양지를 세 번이나 방문했다고 해서 이곳을 삼방리(三訪里), 주변 산을 어래산(御來山)으로 부르게 됐다. 서기 1392년 9월 8일 67세에 세상을 떴는데, 그가 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진주목사로 부임해 잣나무를 관아 북쪽에 심어 놓고 왕에게 청렴과 검소로 백성을 돌볼 것을 약속했다고 한다. 그 후 중앙관서의 시중(侍中)이 되자 진주사람들이 그 나무를 시중백(侍中栢)이라 명명했다. 제사는 현재 해마다 송산리에서 4월 5일 한식제사를 지내고, 출생지인 경북성주군 성주읍 대황동 사당에서는 음력 9월 7일 제사를 지낸다. 증평향토문화연구회의 조사·연구활동을 통해 문화재의 귀중성을 인식시키고, 보존관리가 필요함을 각계에 홍보해 1994년 12월 30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