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문의문화재단지
- 오블완
- 효자문
- 청풍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곡산연씨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단지주혈
- 충북의 문화재
- 한독의약박물관
- 경주김씨
- 충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선돌
- 청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부여박물관
- 법주사
- 사인암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각연사
- 화양구곡
- 효자각
- 공산성 선정비
- 문경새재
- 부도
- 보성오씨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괴산읍 능촌리 취묵당 현판(槐山邑 陵村里 醉默堂 懸板) 본문
괴산군 능촌리에 있는 김득신이 지은 취묵당에 걸려있는 각종 현판들이다.
전국문화유적총람에 보면 취묵당은 (醉默堂)은 <<괴산군읍지>>에 취묵당재군동십리(醉默堂在郡東十里)이라 하였듯이 괴산읍 능촌리에 있으며, 현종(顯宗) 3년에 백곡(栢谷) 김득신(金得臣)이 세운 독서재(讀書齋)인데, 백곡이 여기서 <<백이전(伯夷傳)>>을 1억 1만 3천번을 읽었다고 해서 일명 ‘억만재(億萬齋)’라고도 한다. 창건 이후 여러번의 중수를 거쳐 1979년에 완전 해체, 복원하였는데 건물은 정면 1칸반,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이며 내면은 통칸에 마루를 깔고 사방에 난간을 둘렀고 당안에는 백곡 김득신이 쓴 ‘취묵당(醉默堂)’이라는 현판과 김교헌(金敎憲)이 쓴 ‘덕만재(德萬齋)’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취묵당이라는 현판과 덕만재라는 편액은 도난을 당하였는지 찾아갔을때는 볼수가 없었다.
괴강과 그 주변을 소재로 한 시를 많이 창작했다. 이들 시의 일부는 서사성을 지니고 있어, 17세기 괴산지역 주민들의 생활상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사료가 되고 있다.
'오랫동안 소반에 반찬이 떨어져 / 내 이제 메기를 낚고자 하네. / 해가 솟아 아지랑이 기운 흩어지고 강이 얕아 돌의 모서리 뾰쪽하네. / 아전은 어촌에서 술을 찾고 백성은 장사배의 소금을 다투네./ 발(簾)을 사이 하고 잠시 잠들어 / 베개 베고 단잠을 이루네.'-<'우금3>.
이 시는 △당시 메기낚시가 있었고 △아전의 권세가 만만치 않았으며 △괴강에 소금배가 거슬러 올라왔다는 점 등 괴산지역 주민들의 생활상을 운율로 보여주고 있다.
지금의 괴강은 그리 깊은 강은 아니다. 당시에도 '강이 얕아 돌의 모서리 뾰쪽하네'라는 표현으로 미뤄, 수량은 많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 시는 괴강 수변가에 잔도가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나귀 타고 험한 잔교를 건너는 나그네 / 문득 석양이 기운 것을 겁내네. / 행인을 붙잡고 묻노니 / 앞 길에 인가가 있습니까.'-<잔도기려>
인용문의 '잔교'가 바로 잔도를 의미하고 있다. 잔도는 험한 벼랑 같은 곳에 낸 길로, 암반을 'ㅁ' 바로 인위적으로 깍아 만드는 경우가 많다. 괴산 제월대 건너편에는 은병암 잔도가 현존하고 있다. [충북일보]
은병암 잔도가 옛문헌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박지겸(1540~1623)이 지은 '애한정 팔경'이라는 시로, 이때를 기준으로 하면 최소 400년 된 암벽 사다리길이다. 김득신이 지목한 잔도도 은병암 잔도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취묵당서 은병암까지는 그리 멀지 않다.
[백이전을 억만번 읽었다는 독수기 현판입니다]
'충북의 바람소리 > 괴산군(槐山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안면 청용리 성기환구휼선덕비(淸安面 淸龍里 成耆煥 救恤善德碑) (0) | 2014.07.24 |
---|---|
취묵당-1 (0) | 2014.07.21 |
사리면 사담리 정원사민불(沙梨面 沙潭里 正圓寺民佛) (0) | 2014.06.27 |
괴산읍 서부리 괴산동헌(槐山邑 西部里 槐山東軒) (0) | 2014.06.26 |
괴산읍 서부리 괴산도서관 석물(槐山邑 西部里 槐山圖書館 石物) (0) | 2014.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