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문의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부도
- 부여박물관
- 사인암
- 화양구곡
- 오블완
- 밀양박씨
- 충북의 문화재
- 국립청주박물관
- 선돌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각
- 충주박물관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경주김씨
- 화양동 암각자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법주사
- 효자문
- 사과과수원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신덕저수지 비석군( 薪德貯水池 碑石群)...충주신니면 본문
신니면 송암리 손석흔독립유공추모비(薪尼面 松岩里 孫錫昕獨立有功追慕碑) (tistory.com)
신니면 송암리 손석흔독립유공추모비(薪尼面 松岩里 孫錫昕獨立有功追慕碑)
송암리는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에 속하는 법정리입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흑암리(黑巖里)와 팔송리(八松里)를 병합하면서 흑암과 팔송에서 한 자씩을 따서 송암리(松巖里)라 하였다.
king6113.tistory.com
신니면 송암리 이종완여사효열비(薪尼面 松岩里 李鍾㛡女史孝烈碑) (tistory.com)
신니면 송암리 이종완여사효열비(薪尼面 松岩里 李鍾㛡女史孝烈碑)
충주시 신니면 송암리 송암공원내에 자리하고 있는 이종완여사의 효열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벽진이종완여사효열비(碧珍李鍾㛡女史孝烈碑)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king6113.tistory.com
신니면 송암리 윤우영불망비(薪尼面 松岩里 尹宇榮不忘碑) (tistory.com)
신니면 송암리 윤우영불망비(薪尼面 松岩里 尹宇榮不忘碑)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송암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신니면장 윤우영의 공덕을 기리는 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불망비의 음기를 통하여 면에 부임하면서부터 주민이 원하는 바를
king6113.tistory.com
신니면 송암리 이돈화청백불망비(薪尼面 松岩里 李敦和淸白不忘碑) (tistory.com)
신니면 송암리 이돈화청백불망비(薪尼面 松岩里 李敦和淸白不忘碑)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송암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신니면장 이돈화의 공덕을 기리는 비. 자세한 경위는 알 수 없으나 일제강점기 때 신니면장을 역임한 이돈화(李敦和)의 청렴결백을 기리기
king6113.tistory.com
신니면 송암리 구장정인덕기념비(薪尼面 松岩里 區長鄭寅德記念碑) (tistory.com)
신니면 송암리 구장정인덕기념비(薪尼面 松岩里 區長鄭寅德記念碑)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송암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구장을 역임한 정인덕의 공적을 기리는 기념비입니다. 1937년 신니면 용원2구 주민들이 20여 년간 구장직을 역임하며 마을 일을 열심히 수행한
king6113.tistory.com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문숭리에 있는 저수지.
[개설]
신덕저수지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과 충주시 신니면·노은면 경계의 남쪽에 위치한 수레의산의 동사면, 신니면과 노은면 경계의 중앙부에 있는 웃고개와 능안고개의 남사면,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와 신니면 광월리 경계 못고개의 동남사면, 남쪽의 송암저수지 등에서 흘러내린 요도천(堯度川)이 유입되고 있다. 신덕저수지 남쪽 도로변은 신니면 송암리이며 서쪽은 신니면 문락리 동락동이다. 신덕저수지는 문숭리가 70%, 송암리가 30%를 차지하고 있다. 일명 용원저수지 또는 용당저수지라고도 한다. 신덕저수지 축조로 인하여 무태마을 주민들은 내포마을로, 검은바위마을 주민들은 송암리 등으로 이주하였다.
[건립경위]
신덕저수지는 1944년 착공하여 1949년 10월 14일 준공되었는데, 현재 신니면·주덕면·이류면 등 세 개 면의 평야지대에 관개용수를 제공하고 있다.
[변천]
신덕저수지에서는 1971년 25,000미(尾), 1972년 27,000미, 1977년 820,000미, 1980년 1,634,000미, 1981년 1,491,000미의 잉어 어묘가 방류되었다. 1982년에는 잉어 어묘 289,000미와 빙어란 1,000,000립(粒)이 방류되었다. 잉어 생산량을 살펴보면 1975년 53㎏, 1976년 35㎏, 1980년 1,445㎏, 1981년 1,325㎏, 1982년 275㎏ 등으로 나타났다.
1986년 실측조사에서 잉어와 붕어 등 어족 자원이 풍부하여 낚시터와 위락지 개발이 매우 유망하다고 조사되었다.
[구성]
2007년 말 신덕저수지는 만수면적 82㏊, 총 저수량 446만 5천 톤, 유효저수량 442만 3천 톤, 수혜면적 1,040㏊, 유역면적 2,873㏊이다. 제방의 길이는 280m, 폭은 6m, 높이는 17m이다. 여수로의 형식은 월류식, 연장은 100m, 높이는 1.5m이다. 취수 시설의 크기는 0.5m, 단면은 콘크리트관, 형식은 권양기식, 통관의 길이는 98m이다.
[현황]
신덕저수지는 충주 시내에서 약 21㎞ 거리에 위치한다. 1종의 주수원 저수지로 한국농촌공사 충주·제천지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신덕저수지는 유료 낚시터 40㏊가 조성되어 있어 비교적 큰 규모에 속한다. 낚시터는 1호가 신덕저수지, 2호가 양어장, 3호가 산란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3~4월까지 참붕어가 꾸준히 잡히고 있다.
1980년대 중반부터 군내 대표적인 낚시터가 되었으며, 지금도 붕어, 잉어, 피라미 등이 많아서 가족 단위의 캠핑낚시터로 인기가 높다. 넓은 면적에 50~60㎝급의 잉어가 잘 나와 여름철에는 원거리에서 낚시꾼들이 찾아와 천막을 치고 수일간씩 낚시를 하고 있다. 매점, 식당 등의 편의시설도 갖추어져 있다.
'중원의 향기 > 충주시(忠州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호공덕비(李象鎬功德碑)...충주신니면 (0) | 2010.04.22 |
---|---|
이태호 향민교육 공로비(李台鎬 鄕民敎育功勞碑)...충주시신니면 (0) | 2010.04.22 |
문주리 와요지(文周里 瓦窯址)...이류면 문주리 (0) | 2010.04.22 |
문숭리 향나무 보호수...충주신니면 (0) | 2010.04.21 |
용담사(龍潭寺)..충주신니면 (0) | 2010.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