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주박물관 야외전시장 문인석(淸州博物館 野外展示場 文人石) 본문

박물관 구경하기/청주박물관(淸州博物館)

청주박물관 야외전시장 문인석(淸州博物館 野外展示場 文人石)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6. 10. 24. 20:39





국립청주박물관의 야외전시장에 있는 문인석입니다.



석인(石人)이라고도 하며 왕·왕비의 무덤인 능() 앞에 세우는 사람의 형상을 한 입석상()을 말한다.

중국의 진()·한()시대에 비롯하여, 한국에서는 신라 때부터 조선시대까지 만들었다. 석인에는 문신의 형상을 한 문석인()과 무신의 형상을 한 무석인()이 있으며, 줄여서 문석·무석이라고도 한다.

석인은 방향과 시간을 맡아서 능을 보호하는 수면인신상()인 십이지신상()과 함께 능묘를 수호하는 조각이다. 석인의 배치는 묘 입구 전면에 석사자() 좌우 1쌍, 문석인 좌우 1쌍, 무석인 좌우 1쌍, 다음에 팔각석주()를 세운다.
석인 [石人] (두산백과)





문인석(文人石)신라 때부터 조선시대까지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형태가 많이 변했으나, 대체적으로 문석인의 형상은 포()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를 쓰며, 손에는 홀()을 든 공복() 차림이다. 얼굴은 둥글지만 상하로 약간 긴 달걀형이고, 눈은 이른바 행인형()이며, 눈끝은 약간 위로 올라갔다. 큼직한 코 밑에 있는 입술은 가늘고, 힘있게 다문 입 양끝은 아래를 향한다.

코 밑과 턱에 긴 수염을 선각()으로 나타냈고 턱의 수염은 턱밑으로 뻗어 홀 뒤에 숨었다. 관()의 하부에서 턱 밑까지의 길이와 그 밑 신장의 비율은 1:5~1:3의 변화를 보이며, 이러한 문인석은 특히 문무왕릉()·경덕왕릉() 등 많은 고분이 있는 경주 일대와 조선 고종의 홍릉(), 순종의 유릉() 등 서울 주변의 능에서 볼 수 있다.





무인석(武人石)시대에 따라 형태의 변화가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그 형상은 갑옷과 투구로 완전 무장하였으며, 얼굴은 크고 둥글다. 두 눈은 매섭거나 문석인보다 더 크게 뜨고 있으며, 문석인과는 달리 수염이 없고 뺨과 턱과 다리의 굴곡이 대담하며, 입은 입술이 두껍고 굳게 다물고 있어 강건한 무사상을 나타낸다.

허리에는 띠[]를 두르고 중앙부에는 귀면()이 달려 있다. 칼은 칼집에 넣은 채 허리에 차고 있거나, 칼을 뽑아 두 손으로 지팡이처럼 잡고 있는 점이 문석인과 다르다. 무석인은 대부분의 왕릉에서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