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오블완
- 효자문
- 각연사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효자각
- 곡산연씨
- 경주김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선돌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밀양박씨
- 사과과수원
- 충주박물관
- 사인암
- 공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부도
- 문경새재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주박물관 야외전시장 문인석(淸州博物館 野外展示場 文人石) 본문
국립청주박물관의 야외전시장에 있는 문인석입니다.
석인(石人)이라고도 하며 왕·왕비의 무덤인 능(陵) 앞에 세우는 사람의 형상을 한 입석상(立石像)을 말한다.
중국의 진(秦)·한(漢)시대에 비롯하여, 한국에서는 신라 때부터 조선시대까지 만들었다. 석인에는 문신의 형상을 한 문석인(文石人)과 무신의 형상을 한 무석인(武石人)이 있으며, 줄여서 문석·무석이라고도 한다.
석인은 방향과 시간을 맡아서 능을 보호하는 수면인신상(獸面人身像)인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과 함께 능묘를 수호하는 조각이다. 석인의 배치는 묘 입구 전면에 석사자(石獅子) 좌우 1쌍, 문석인 좌우 1쌍, 무석인 좌우 1쌍, 다음에 팔각석주(八角石柱)를 세운다. 석인 [石人] (두산백과)
문인석(文人石)신라 때부터 조선시대까지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형태가 많이 변했으나, 대체적으로 문석인의 형상은 포(袍)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幞頭)를 쓰며, 손에는 홀(笏)을 든 공복(公服) 차림이다. 얼굴은 둥글지만 상하로 약간 긴 달걀형이고, 눈은 이른바 행인형(杏仁形)이며, 눈끝은 약간 위로 올라갔다. 큼직한 코 밑에 있는 입술은 가늘고, 힘있게 다문 입 양끝은 아래를 향한다.
코 밑과 턱에 긴 수염을 선각(線刻)으로 나타냈고 턱의 수염은 턱밑으로 뻗어 홀 뒤에 숨었다. 관(冠)의 하부에서 턱 밑까지의 길이와 그 밑 신장의 비율은 1:5~1:3의 변화를 보이며, 이러한 문인석은 특히 문무왕릉(文武王陵)·경덕왕릉(景德王陵) 등 많은 고분이 있는 경주 일대와 조선 고종의 홍릉(洪陵), 순종의 유릉(裕陵) 등 서울 주변의 능에서 볼 수 있다.
무인석(武人石)시대에 따라 형태의 변화가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그 형상은 갑옷과 투구로 완전 무장하였으며, 얼굴은 크고 둥글다. 두 눈은 매섭거나 문석인보다 더 크게 뜨고 있으며, 문석인과는 달리 수염이 없고 뺨과 턱과 다리의 굴곡이 대담하며, 입은 입술이 두껍고 굳게 다물고 있어 강건한 무사상을 나타낸다.
허리에는 띠[帶]를 두르고 중앙부에는 귀면(鬼面)이 달려 있다. 칼은 칼집에 넣은 채 허리에 차고 있거나, 칼을 뽑아 두 손으로 지팡이처럼 잡고 있는 점이 문석인과 다르다. 무석인은 대부분의 왕릉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박물관 구경하기 > 청주박물관(淸州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박물관 만동묘중수기(淸州博物館 萬東廟重修記) (0) | 2016.10.26 |
---|---|
청주박물관 관음보살이 새겨진 거울(淸州博物館 觀音普薩이 새겨진 거울) (0) | 2016.10.25 |
청주박물관 영하리석제불좌상(淸州博物館 靈下里石製佛座像) (0) | 2016.10.23 |
청주박물관 야외전시장 돌확과 여물통(淸州博物館 野外展示場 돌확과 돌여물통) (0) | 2016.10.20 |
청주박물관 야외전시장 동자석(淸州博物館 野外展示場 童子石) (0) | 2016.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