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산성 선정비
- 한독의약박물관
- 단지주혈
- 효자각
- 경주김씨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문
- 법주사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보성오씨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밀양박씨
- 충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부도
- 곡산연씨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오블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화양구곡
- 선돌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양산면 봉곡리 덕산재(陽山面 鳳谷里 德山齋) 본문
양산면 봉곡리에 자리하고있는 함양여씨 옥천파덕산종중재실(咸陽呂氏 沃川派德山宗中齋室)입니다.
덕산재(德山齋)라는 현판을 달고 있으며 적벽돌로 근간에 새로지은 건물입니다.
건물입구에는 한양여씨재실임을 알리는 간판과 더불어 덕산재의 내용을 기록한 덕산재기(德山齋記)라는 비석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여(呂)씨는 본관은 함양(咸陽) ·성주(星州)의 2본이다. 문헌에는 30여 본이 전하나 대부분 함양여씨와 성주여씨의 세거지(世居地)를 나타낼 뿐이다. 여씨의 선조는 본디 당나라 사람으로, 877년(헌강왕 3)에 황소(黃巢)의 난을 피해 신라에 귀화하였다고 전한다. 그뒤에 함양 ·성주 ·밀양 ·김해(金海) 등 4본으로 분적했다고 하는데, 오늘날 밀양여씨와 김해여씨는 전하지 않는다. 함양여씨의 시조는 고려시대에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지낸 어매(御梅)이며, 그의 9대손인 칭(稱) 이후 많은 명신을 배출하였다. 칭은 고려 말에 문과에 급제, 조선 태조 때 도총제(都摠制) ·형조판서를 역임하였으며 청빈하기로 이름났다. 그의 증손 자신(自信)은 성종~중종대에 걸쳐 이름난 무신으로 병조판서를 지내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함양여씨는 칭의 8대 손인 우길(祐吉) ·유길(裕吉)의 대를 고비로 선조~숙종대에 걸쳐 가장 위세를 떨쳤다. 우길은 선조 때 문과에 급제, 여러 벼슬을 역임하고 광해군 때 관찰사에 이르렀는데, 대명외교(對明外交)에 공헌하고 임진왜란 뒤에는 일본에 건너가 중단된 국교를 회복시켰다. 독립운동가 운형(運亨)은 우길의 11대손이다. 유길은 선조 때 알성문과에 급제, 광해군 때 병조참판에 이르렀다. 유길의 아들 이징(爾徵)은 인조 때 문과에 급제, 대사헌 도승지 부제학 등을 지냈는데 성리학에 밝고 천문 ·역법(曆法) ·시문 ·서화에도 뛰어났다. 또 그의 종제(從弟) 이재(爾載)는 인조 때 문과에 급제, 심기원(沈器遠)이 모반했을 때 공을 세워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되고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함양여씨의 유일한 상신 성제(聖齊)는 소론(少論)의 한 사람으로서 영의정에 이르렀다가, 남인(南人)과 의견이 맞지 않아 사소(辭疏)를 올린 끝에 중추부판사로 전임하였다. 한편 성주여씨의 시조는 고려시대에 진사를 지낸 양유(良裕)이며, 성주여씨의 대표적 인물로는 희림(希臨)을 들 수 있다. 그는 중종 때 진사시에 합격, 왕자사부가 되었는데 당대의 학자로서 이름이 높았다. 여씨는 조선시대에 문과급제자 51명을 배출하였다. 1960년도 국세조사에서는 인구 3만 271명으로서 성별순위는 258성 중 63위였고, 1985년도 국세조사에서는 1만 1714가구, 인구 4만 8914명으로서 순위는 274성 중 64위였다.
'충북의 바람소리 > 영동군(永同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산면 가곡리 은진임씨효열문(陽山面 柯谷里 恩津林氏孝烈門) (0) | 2017.05.26 |
---|---|
심천면 명천리 척양당 배성오효행비(深川面 明川里 滌養堂 裵星五孝行碑) (0) | 2017.05.25 |
양산면 죽산리 박희영공적비(陽山面 竹山里 朴喜榮功績碑) (0) | 2017.05.24 |
양산면 봉곡리 이의정묘지(陽山面 鳳谷里 李義精墓地) (0) | 2017.05.23 |
용산면 부상리 입석(龍山面 扶桑里 立石) (0) | 201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