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앙성면 중전리 신정묘지(仰城面 中田里 申晸墓地) 본문

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앙성면 중전리 신정묘지(仰城面 中田里 申晸墓地)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7. 10. 6. 11:23



앙성면 중전리에 있는 조선후기의 문신인 신정의 묘소입니다

중전리는 대부분의 지대가 완만한 구릉성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마을이다. 마을 북쪽에서 남쪽을 향해 하천이 흘러 내려가고 있다. 자연 마을로는 가죽배기, 비내, 청산이골 마을 등이 있다. 가죽나무배기 마을은 전에 가죽나무가 많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비내 마을은 벌천이라고도 불리며 옛날에 나무를 많이 베어낸 곳이라 하여 이름 붙여지게 되었다 청산이골 마을은 근처에 있는 산이 매우 푸르다 하여 불리워진 이름이다. 


중전리 마을에 들어서면서 민가 뒷쪽으로 산소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신정은 1628(인조 6)∼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평산(). 자는 백동(), 호는 분애(). 할아버지는 영의정 흠()이고, 아버지는 참판 익전()이며, 어머니는 조창원()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였으며, 가학으로 학문을 닦았다.

1648년(인조 26) 사마시에 합격, 1664년(현종 5) 음보()로 빙고별검()에 임명되었고, 그 해에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67년 검열·설서·지평·정언·대교 등을 역임하였다. 1669년부터 1674년까지는 문학·수찬·응교·집의·전라도관찰사·대사간·대사성·평안도관찰사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675년(숙종 1) 남인들이 집권하자, 서인이 추방될 때 파직당하였다가 3년 후 도승지로 다시 등용되었다. 1679년 한성부좌윤으로 있을 때 남인인 허적()을 탄핵하다가 오히려 자신이 삭직당하기도 하였다. 1680년 경신대출척으로 남인이 물러나자 대사헌에 발탁되었다.

인경왕후()가 죽자 빈전도감제조(殿調)를 맡아보았고, 그 뒤 우참찬·예조판서·공조판서·좌참찬·예조판서·이조판서 등을 지냈다. 개성부유수에 이어 판의금부사로 예문관제학을 겸직한 뒤, 1685년 예조판서가 되었다. 한성판윤을 거쳐 강화부유수로 재임중 죽었다.

바른 정사로 일세의 추중()을 받는 이름난 재상이었고, 시문과 글씨에 뛰어나 관각()의 전책()이나 국가의 금석문자를 찬술한 것이 많다. 특히 시에 뛰어나 격조가 청절()하다는 평을 받았다. 저서로는 『분애집』·『분애유고』·『임진록촬요()』 등이 있다. 시호는 문숙()이다.

신정[申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