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문의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단지주혈
- 부도
- 화양구곡
- 효자각
- 효자문
- 선돌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곡산연씨
- 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오블완
- 문경새재
- 법주사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부여박물관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사인암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국립청주박물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천면 화양계곡 읍궁암 (靑川面 華陽溪谷 泣弓岩) 본문
화양동계곡은 화양천 맑은 물을 끼고 산 속으로 10리쯤 뻗어 있다. 옛사람들은 이 골짜기를 ‘금강산 남쪽에서 으뜸가는 산수’라 일컬었다. 훤칠하고 깨끗한 바위들은 벽으로 치솟거나 너럭바위로 가로누웠고 옥 같은 물은 그 위로 미끄러진다. 양쪽 산기슭의 소나무들은 층층이 붉은 줄기를 드러내고 싱싱하게도 자랐다. 화양천 물은 흘러 달천으로 가고 달천 물은 다시 남한강 줄기에 보태지니 이곳 물은 한강까지, 서해까지 간다.
송시열은 벼슬에서 물러난 후 이 골짜기에 들어앉아 글을 읽고 제자들을 불러들였다. 자신을 주자에 비유했던 그는 주자의 무이구곡을 본떠서 화양동계곡의 볼 만한 곳 아홉 군데에 이름을 붙이고 화양구곡(華陽九曲)이라 했다.
구곡중 제3곡인 읍궁암입니다.
화양구곡의 대부분은 경치나 모양의 모습에 따라 이름을 정했지만 이 곳 읍궁암은 송시열의 효종을 향한 마음의 정표로 지은 이름이 아닌가 합니다. 게곡을 흐르는 물옆에 위치한 편편한 바위입니다. 바위위에 군데군데 패인자국은 송시열의 눈물자국이라는 이야기가 구전으로 내려 옵니다.
이 날이 무슨 날인지 아는가, 此日知何日
외로운 충정만 하늘에 닿았도다. 孤衷上帝臨
새벽이 되도록 통곡한 연후에, 侵晨痛哭後
또 다시 엎드려 무릎 꿇고 탄식하노라. 抱膝更長吟
先生嘗於孝廟諱日 曉起痛哭於巖上 仍吟一絶 後人號其巖曰泣弓 盖取荊湖故事也 歲丁酉方伯尹公憲柱
謁廟訖大書泣弓三字刻石 視後其誠意至矣 尙夏謹書先生絶句於其末云 此日知何日 孤衷上帝臨 侵晨痛哭後 抱膝更長吟
우암선생께서 일찍이 효종의 휘일에 일어나 바위 위에서 통곡하고 일절을 읊었다.
뒷사람들이 그 바위를 불러 읍궁이라고 하였다. 대개 형호의 고사를 취한 것이다.
정유년 방백 윤헌주가 사당을 참배하고 ‘읍궁암’ 석자를 크게 써서 바위에 새기어 후세에 보이니,
그 진실한 뜻이 지극하다. 권상하가 삼가 선생의 절구를 그 말미에 쓰니,
“이 날이 무슨 날인지 아는가. 외로운 충정만 하늘에 닿았도다.
새벽이 되도록 통곡만 하다가, 또 다시 엎드려 무릎 끌어안고 탄식하노라” 라고 하였다.
읍궁암 - 임상주 -
吁嗟彼盤石 아! 저 널찍하고 평평한 바위,
云胡名泣弓 어찌 하여 읍궁암이라 이름 했나?
孝廟之諱日 효종임금 제삿날이면
有臣號蒼穹 우암선생이 하늘을 향해 울부짖었네.
年年是巖上 세월이 지나도 이 바위에는
淚痕磨不磷 눈물 흔적 닳아 없어지지 않았네.
侵晨慟哭語 새벽에 통곡하며 탄식한 말씀,
可以泣鬼神 귀신을 울리겠도다.
읍궁암 - 권진응 -
三曲巖如泛壑船 삼곡이라, 바위는 골짜기에 떠있는 배와 같은데
貂裘泣血問何年 담비 갖옷 입고 피눈물 흘리기 몇 년인가?
君民大計空遺廟 임금과 백성의 큰 계획 만동묘에 남아 있으니
社宇聲聲聽可憐 만동묘에 통곡하는 소리 가련하네.
읍궁암 - 송흠학 -
三曲穹巖似跨船 삼곡이라, 읍궁암은 걸터앉은 배와 같은데
攀躋長憶泣弓年 올라가서 한참을 통곡하시던 그날을 생각해보네.
窮山血痕從誰灑 깊은 산에 혈흔(血痕) 누가 뿌려 놓았나?
惟有河西曠世憐 오직 시내 서쪽에 남아 오랜 세월 가련하네.
'충북의 바람소리 > 괴산군(槐山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천면 화양계곡 첨성대(靑川面 華陽溪谷 瞻星臺) (0) | 2017.11.03 |
---|---|
청천면 화양계곡 금사담과암서재(靑川面 華陽溪谷 金沙潭과岩棲齋) (0) | 2017.11.03 |
청천면 화양계곡 학소대(靑川面 華陽溪谷 鶴巢臺) (0) | 2017.11.02 |
청천면 화양계곡 채운암목조여래좌상(靑川面 華陽溪谷 彩雲庵木造如來坐像) (0) | 2017.11.01 |
채운암 대웅전 꽃살무늬 (0) | 2017.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