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효자각
- 각연사
- 공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경주김씨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사인암
- 충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문경새재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효자문
- 밀양박씨
- 선돌
- 문의문화재단지
- 오블완
- 부도
- 충북의 문화재
- 곡산연씨
- 법주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티스토리챌린지
- 국립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경주박물관 숭복사 쌍거북 비석받침.(慶州博物館 崇福寺雙龜趺) 본문
경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자리하고 있는 숭복사쌍거북 비석받침입니다.
두 마리 거북이 붙어 있는 이 비석받침은 경주 외동읍(外東邑) 말방리(末方里)숭복사터에 있던 것입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원성왕(元聖王)(재위785~798)이 능은 토암산 서쪽 골짜기 곡사(鵠寺) (숭복사)에 있으며 최치원(崔致遠)(857~)이 지은 비문이 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로써 숭복사는 원성왕의 명복을 빌어주던 원찰이라는 것과 그곳에 있던 비문을 최치원이 지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쌍거북 비석받침은 어디에 또 있을까요?
숭복사 외에도 경주 배리(拜里)에 있는 창림사터와 경주 암곡동(暗谷洞)의 무장사터에서도 찿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다른 비석과 달리 쌍거북 받침일까요?
그 이유는 자세히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은 이 세 절 모두 신라 왕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입니다.
숭복사는 원성암의 명복을 빌기 위한 절이고, 창림사 일대는 박혁거세(朴赫居世)(재위 57BCE~4CE)가 세운 신라 최초의 궁궐터라고 알려져 있으며
무장사는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재위 654~661이 삼국을 통일한 뒤 병기를 숨겼다는 절설이 서려있는 곳입니다.
아마도 신라 사람들은 왕실과 관련된 비석을 좀더 화려하게 꾸미고 싶지않았을까요.
숭
'박물관 구경하기 > 경주박물관(慶州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박물관 석조불입상 (0) | 2018.08.05 |
---|---|
토함산 석굴암(吐含山 石窟庵) (0) | 2018.07.04 |
경주박물관 삼릉계삼층석탑(慶州博物館 三陵溪三層石塔) (0) | 2017.11.23 |
경주박물관 교동사자상(慶州博物館 校洞獅子像) (0) | 2017.06.06 |
경주박물관 금강역사(慶州博物館 金剛力士) (0) | 2017.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