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의문화재단지
- 사인암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부도
- 사과과수원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화양동 암각자
- 상당산성
- 효자각
- 오블완
- 각연사
- 공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충주박물관
- 법주사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효자문
- 청풍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선돌
- 단지주혈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진천읍 지암리 지장사지(鎭川邑 芝岩里 地藏寺址) 본문
진천 지암리에 있는 지장사터 입니다.숱한 세월 이야기와 함께 세월은 흐르고 짝잃은 부도와 맷돌만이 지난 세월을 반추하고 있습니다.
지장사지地藏寺址는 진천읍 지암리 산40-8에 위치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주변을 살펴보면 그 터는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지암리 지장골 절안마을 서쪽의 잠덕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데, 마을 지명도 지장사地藏寺가 지장보살을 모신 절이라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지장사 터에 관하여 문화유적총람에는 “고려시대 지장보살을 모셨던 사찰이 있었다고 하여 지금까지 지장골 절터라고 전해지는데, 사찰이 있었던 유지와 와편을 발견할 수 있다.”라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지장사 터의 정확한 존폐 시기는 문헌 기록이 없어 알 수 없고, 조선시대의 각종 지리지에도 지장사의 존재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는데, 일제강점기의 지리지에는 지장사가 충청북도 진천군 남쪽 2리 지점의 잠덕산에 있는 신라시대의 고찰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지장사가 있던 터 옆으로는 짝잃은 맷돌이 세월을 깁고 있습니다.
맷돌은 현재 밑돌만 남아 있는데, 매우 거대한 형태로서 둘레에 매판을 1석으로 조성하였습니다.
매판의 둘레 윗면의 명문으로 보아 만력 4년 즉 1576년(선조 9)에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지장사가 조선 중기까지 큰 영화를 누렸다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지장사 터의 흔적은 약 4,958.7㎡에 이르는 넓은 평지로 남아 있으나, 건물지 등 뚜렷한 유구는 없고 맷돌 1기와 부도 1기가 남아 있을 뿐이다. 절터의 북동쪽 계곡 옆에 보존되어 맷돌은 현재 밑돌만 남아 있는데, 그 크기가 매우 거대한 형태로서 둘레에 매판을 1석으로 조성하였다. 매판의 둘레 윗면의 명문으로 보아 만력 4년 즉 1576년(선조 9)에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지장사가 조선 중기까지 큰 영화를 누렸다고 짐작할 수 있다. 부도는 절터의 남서쪽 약 150m 지점에 넘어져 있다. 원래의 위치는 이보다 100여 m 정도 위쪽인데, 장마 때 석종형의 탑신석이 굴러 떨어진 후 방형의 대석은 흙 속에 파묻혔다고 한다. 부도의 크기는 전체 높이 1.8m, 직경 85㎝로 외관상의 손상은 없다. 석종형 탑신상단에 보주형의 상륜相輪이 모각模刻되어 있으며, 탑신의 한쪽에 ‘백허당白虛堂’이라 새긴 명문이 있는 전형적인 조선시대의 부도이다.
자연석을 이용하여 축대를 만들었습니다.그 축대마저도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많이 허물어져있습니다
지장사터 맷돌의 짧은 쪽 길이는 153㎝, 긴 쪽 길이는 163㎝입니다. 전형적인 우리나라 맷돌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매판까지 같은 돌로 제작하였습니다. 이 맷돌이 중요한 것은 매판 둘레 윗면에 ‘만력사년병자대화주신여비구천□유□(萬曆四年丙子大化主信女比丘天□有□)’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는 점입니다.
전형적인 조선시대의 승탑입니다.석종형 모습에 깨끗히 보관되어 있습니다.
지장사터의 부도의 크기는 전체 높이가 180㎝, 직경 85㎝이며, 석종형 탑신 상단에는 보주형의 상륜이 모각되어 있습니다.
육중한 맛이 있습니다.
'충북의 바람소리 > 진천군(鎭川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백면 도하리 표암 강세황선생묘소(文白面 道下里 豹菴 姜世晃先生墓所) (0) | 2019.05.23 |
---|---|
문백면 계산리부도 (0) | 2019.04.12 |
진천읍 문봉리 부도(鎭川邑 文鳳里 浮屠) (0) | 2019.04.01 |
문백면 옥성리 일본헌병순직비(文白面 玉城里 日本憲兵殉職碑) (0) | 2019.03.16 |
문백면 옥성리 한봉수항일의거비(文白面 玉城里 韓鳳洙抗日義擧碑) (0) | 2019.03.15 |